“기업 10곳 중 8곳, 분위기 흐리는 무능력 직원 있어”
“기업 10곳 중 8곳, 분위기 흐리는 무능력 직원 있어”
  • 이효상
  • 승인 2010.11.15 12: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업 10곳 중 8곳은 사내 분위기를 흐리는 무능력한 직원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기업 인사담당자 479명을 대상으로 ‘회사 내 무능력한 직원 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 81%가 ‘있다’라고 답했다.

전체 직원 중 무능력한 직원의 비율은 ‘10% 이하’(40.2%)가 가장 많았다. 이어서 ‘20%’(31.2%), ‘30%’(14.7%), ‘50%’(7%), ‘40%’(2.6%) 등의 순으로, 평균 22.3%로 집계되었다.

무능력한 직원의 유형으로는 ‘시간이 지나도 발전이 없는 유형’(66.8%, 복수응답)을 첫 번째로 꼽았다. ‘자기계발을 하지 않는 유형’이 41.2%로 뒤를 이었고, 이외에도 ‘성과가 없는 유형’(40.7%), ‘일 마무리가 깔끔하지 않은 유형’(40.7%), ‘업무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유형’(38.4%), ‘시간 안에 일을 해내지 못하는 유형’(28.1%), ‘상사에게 자주 혼나는 유형’(10.6%), ‘후배에게 무시 당하는 유형’(9.8%), ‘건강관리 못하는 유형’(9.3%) 등의 응답이 있었다.

무능력한 직원 때문에 피해를 입은 기업은 88.1%였으며, 피해로는 ‘동료들의 업무 사기 저하’가 66.4%(복수응답)로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업무 흐름 방해’(59.9%), ‘업무 성과 감소’(45.9%), ‘직원들간의 노골적 갈등’(45%), ‘능력대비 높은 연봉 지급’(29.8%) 등이 이어졌다.

또, 무능력한 직원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을 환산한 금액은 평균 3,78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무능력 직원 때문에 피해를 입은 기업 중 82.6%는 이에 대한 대처방법을 가지고 있었다. 대처방법으로는 ‘승진 기회를 박탈한다’는 응답이 41.3%(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이어 ‘해고한다’(26.2%), ‘인성 교육을 실시한다’(23.8%), ‘시말서를 제출하게 한다’(22.6%), ‘연봉을 삭감한다’(18.3%) 등이 있었다.

사람인 임민욱 팀장은 “성과를 내지 못하는 무능력한 직원은 회사 차원에서도 손실이지만, 개인의 커리어 측면에서도 마이너스가 된다.”라며 “기업은 직원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개인도 자신의 성장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