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인사담당자 236명을 대상으로 '지난 1년간 묻지마 지원자 증가 여부'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46.6%가 '증가했다'라도 응답했다.
뒤이어 '비슷하다'(29.7%), '묻지마 지원자가 없다'(16.5%), '감소했다'(7.2%) 순이었다.
묻지마 지원자의 비율을 묻는 질문에는 전체 지원자 중 30%가 묻지마 지원자라는 의견이 30.5%로 가장 많았다. 다음은 20%(21.3%), 10%(13.2%), 50%(12.2%), 40%(7.6%) 등의 순으로 평균 34.4%로 집계됐다.
묻지마 지원 여부는 '이력서 검토 시'(37.6%) 가장 많이 구별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밖에 '면접전형 시'(32%), '자기소개서 검토 시'(26.4%) 등이 있었다.
묻지마 지원자라고 판단할 수 있는 주요 근거로는 불분명한 지원 동기(51.7%, 복수응답)가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지원기업 정보 부족(30.1%), 지원분야 헷갈려 함(28.4%), 잦은 이직횟수(23.7%), 지원 직무 관련 지식 부족(20.8%), 성의 없는 면접 태도(20.8%), 지원기준 미달인데 지원함(17.8%), 관계 없는 전공(16.9%), 일관성 없는 스펙 보유(14.8%), 진부한 표현이 많은 자기소개서(13.6%) 등의 의견이 있었다.
묻지마 지원자에 대한 대응 방법으로는 '무조건 탈락시킨다'가 42.1%로 가장 많았다. 이어 '다른 조건이 좋으면 통과시킨다'(33%), '감점을 준다'(24.9%)는 의견도 있었다.
한편 묻지마 지원자를 줄이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것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 격차 완화(25.4%)를 1위로 꼽았다.
이 외에도 중소기업의 고용 지원 정책 강화(21.2%), 괜찮은 일자리 창출 노력(17.4%), 고학력 중심 사회 분위기의 변화(14.8%) 등의 순으로 의견이 이어졌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