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의 일자리를 확대하기 위해 인턴취업 지원대상 인원과 업종이
확대된다.
노동부는 최근 김진표 부총리 주재로 열린 경제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청년 및 취업취약계층 고용안정 보안대책을 보고했다.
대책에 따르면 올해 청소년직장체험프로그램의 인턴취업 대상 인원을
당초 9천명에서 1만3천명으로 늘리고 대상 업종도 제조업, 컴퓨터 통
신업에서 모든 업종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인턴취업 지원제는 기업들이 학교 졸업생을 인턴으로 채용하면 정부
가 3개월간월 50만원씩 지원하고 이후 정규직으로 채용하면 추가로 3
개월간 월 50만원씩 지원하는 제도다.
또한 1만5천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중소벤처기업 현장체험 기회를 제
공하고 이공계 대졸 미취업자 1천명에게 연구현장 및 산업체 연수 기
회를 주기로 했다.
청년층 실업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중장기 대책으로는 수시채용, 경력
자 선호 등 기업의 채용관행 변화에 맞춰 대학의 졸업 시점을 탄력적
으로 조정하고 휴학요건을 완화하는 등의 방안을 교육부와 공동으로
추진키로 했다.
노동부는 이와함께 취약계층 취업을 늘리기 위해 299억원을 들여 중고
령자 등 8천300명에게 간병인이나 NGO 지원사업 등 "사회적 일자
리"를 제공하고, 기업들이 정년퇴직자에게 전직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에도 장려금을 줄 방침이다.
특히 고용보험법 시행령을 개정, 기업들이 중고령자를 신규 고용하면
월 28만원씩 6개월간 지원하는 장려금 제도의 지원대상을 현행 55세이
상에서 50세이상으로 낮추고, 정년퇴직자를 재고용할 경우 1년간 월
30만원 가량의 장려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노동부 관계자는 "청소년 실업률이 4월 기준으로 7.3%로, 전체 실업
률 3.3%에 비해 2배 이상 높고 경기위축에 따라 중고령자,장기실업자
등 저소득 취약계층의 고용불안 우려가 커지고 있어 추가 대책을 마련
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