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 일제히 비난 ...양대노총, 상반된 입장
노동관계법 개정안이 1월1일 새벽 가결돼 13년간 유예된 현행법이 국회를 통과한 가운데 야당과 노동계 측에서 강경하게 반대하고 나서 논란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김형오 국회의장은 지난해 12월 17일, 31일 본회의에서 노동법 개정안을 직권상정하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으나 결국 1월 1일 국회 차수를 변경해 직권상정했다. 개정안은 한나라당과 친박연대 의원 176명만이 표결에 참여한 가운데 찬성 173표, 반대 1표, 기권 1표로 본회의를 통과했다. 야당 의원들은 물리적으로 저지하지는 않고 표결에는 불참했다.
본회의에 통과된 개정안에 따르면 노조 전임자에게 지급되던 임금은 준비 기간을 거친 후 올해 7월 1일부터 전면 금지된다.
다만 사용자와의 협의, 고충처리, 산업안전활동 및 추미애 위원장이 추가한 ‘건전한 노사관계 발전을 위한 노조 유지, 관리 업무 수행’ 시에만 전임자에게 급여를 지급하는 타임오프제가 도입된다. 개정안에 따르면 노동계에서 강력하게 주장했던 쟁의 행위를 위한 업무에는 임금이 지급되지 않는다.
복수노조의 허용은 2011년 7월 1일부터 허용될 예정이다. 노사정 합의안보다는 1년 앞당겨진 것. 한편 교섭창구는 대표노조만 교섭에 나설 수 있게 창구를 단일화하도록 했다. 과반수 노조가 없는 경우, 공동교섭대표단이 대표노조가 된다.
또한 야당에서 강력하게 반발해왔던 산별노조 교섭권은 올해부터 인정되지 않는다. 사용자나 노동위 결정이 있을 때 근로조건 차이, 교섭관행에 따라 교섭단위를 분리할 수 있다. 다만 2009년 12월 31일까지 교섭권을 가지고 있었던 초기업 노조의 경우 기간을 유예해 2012년 7월부터 단일화를 적용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