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문결과, 77.5%(1,059명)의 남녀 구직자들이 취업하고 싶은 특정 기업 또는 직무가 있다고 답했고, 그들 중, 85.6%(907명)은 구직기간이 길어질 경우, 처음에 목표한 기업 및 직무 눈높이를 낮출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또한 ‘처음 목표한 기업 또는 직무로의 취업에 성공하기 위해 몇 개월까지 할애할 의향이 있나‘라는 질문에는 ‘6~9개월’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40.5%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3~6개월(19.7%), 12개월 이상(19.6%), 3개월 미만(12.5%), 9~12개월(7.7%) 순이었다.
한편, 현재 본인이 취업에 성공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58.6%(800명)의 응답자가 ‘본인의 취업스펙이 부족해서’, 38.3%는 경기침체에 따른 사회적 문제가 원인이라고 답했다.
기타 의견으로는 ‘취업 목표 기업을 너무 높게 잡았기 때문에’, ‘운이 없어서’, ‘지원하고자 하는 기업이 채용공고를 내지 않으니까’ 등이 있었다.
잡코리아 김화수 대표는 “철저한 계획 없이 구직기간을 너무 오래 잡는 것은 결코 현명한 취업전략은 아니다”며 “채용담당자는 이력서에 설명되지 않은 공백 기간에 대해 궁금해 하기 마련이기 때문에 구직 공백 기간이 있다면 그 기간 동안을 무의미하게 보내지 않았다는 사실을 인사담당자들에게 충분히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