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설문조사 결과, 국내외 기업10곳 중 8곳에 해당하는 81.5%(220개사)의 기업이 ‘인턴쉽 프로그램 기간 동안 급여를 지급한다’고 답했고, 국내외 기업이 월 평균 인턴사원 급여로 지출하는 비용은110만원 수준이었다.
인턴쉽 프로그램 기간 동안 일정 급여를 지급한다고 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은 집단은 대기업으로 96.7%의 응답자가 급여를 지급한다고 답했고, 반면 중소기업(74.8%)과 외국계 기업(74.3%)은 급여를 지급하는 곳이 10곳 중 7곳 수준에 불과했다.
월 평균 인턴 급여 수준이 가장 높은 곳은 외국계 기업으로 127만원으로 집계됐고, 다음으로 대기업 116만원, 중소기업 89만원 수준이었다.
또한 인턴쉽 프로그램 종료 후, 45.1%의 응답자는 ‘인턴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지는 않지만, 입사시 가산점을 부여한다’고 답했고 ‘매번 일정 인원을 정규직으로 전환한다’는 23.9%, ‘지원자의 능력에 따라 전환시키는 것이 틀리다’고 답한 곳은 13.1%였다.
잡코리아 관계자는 “업무경험이 전무한 인턴사원이라 할지라도, 일정기간 고용해 회사 업무를 시킨다면 그에 부합하는 급여를 지급하는 것이 옳다”며 “인턴쉽 프로그램을 잘 활용한다면, 우수한 인재를 조기에 확보할 수 있고 나아가 기업 경쟁력 제고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