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자 87.2%, “구직증후군 경험했다”
구직자 87.2%, “구직증후군 경험했다”
  • 최정아
  • 승인 2009.10.13 09: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속되는 구직활동으로 구직자 대부분이 불안정한 심리상태이거나 특정행동을 무의식적으로 반복하는 이른바 ‘구직증후군’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커리어가 10월 9일부터 11일까지 구직자 97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87.2%가 ‘구직증후군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구직증후군은 남성(84.6%)보다 여성(91.2%)이 더 많이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직증후군의 주요 증상(복수응답)으로는 ‘이메일을 수시로 확인 한다’(59.8%)가 가장 많았으며, ‘가끔씩 자괴감이 든다’(57.5%)와 ‘취업사이트나 커뮤니티에 하루만 방문을 안 해도 불안하다’(55.9%)가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 ‘감정의 기복이 심해졌다’(49.4%), ‘대인기피증이 생겼다’(45.4%), ‘휴대폰을 들여다보는 시간이 늘었다’(42.9%), ‘멍 때리는 시간이 늘었다’(39.2%), ‘불합격에 무뎌졌다’(32.5%), ‘취업관련 악몽을 가꿈 꾼다’(18.6%) 순이다.

남성은 ‘이메일을 수시로 확인 한다’(65.5%)는 답변이 가장 높은 반면, 여성의 경우에는 ‘가끔씩 자괴감이 든다’(62.5%)는 대답이 많았다.

구직증후군이 나타나기 시작한 시점은 구직활동을 한 지 평균 4개월 정도가 지난 때부터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직증후군이 생활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72.0%가 ‘다른 일을 할 수는 있으나 집중력이 떨어졌다’고 답했다. ‘구직활동 외 다른 일을 못할 정도다’는 18.0%,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7.9%였다.

구직증후군을 극복하기 위해 현재 노력하고 있는가를 묻는 질문에는 67.5%가 ‘그렇다’고 응답했는데, 이들은 주로 ‘긍정적 마인드를 갖기 위해 노력 한다’(69.9%)거나 ‘운동∙취미활동 등 집중할 수 있는 일을 찾아서 한다’(39.2%)고 답변했다.

이외에 ‘비슷한 상황의 친구들을 자주 만난다’(18.8%), ‘술∙담배로 극복 한다’(18.6%), ‘학원∙스터디활동 등 더욱 바쁘게 지낸다’(18.5%), ‘취업컨설턴트 등 전문가로부터 상담을 받는다’(11.3%) 등이 있다.

커리어 대표는 “극심한 취업난으로 구직활동 기간이 늘면서 구직자들의 불안감도 더욱 커지는 듯 하다”며 “이런 때일수록 자신만의 시간활용 노하우나 스트레스 해소법 등을 만들어두고 좋은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