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어학 공부나 인턴십 수료 등의 취업 준비에 ‘올인’하기 위해 휴학을 하는 학생들이 적지 않다. 하지만 이러한 휴학이 실제로도 취업에 도움이 될까?
인크루트(대표 이광석)가 20~30대 직장인 중 취업준비 때문에 휴학을 해 본 경험이 있다고 밝힌 34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부정적인 의견이 대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밝힌 당시 휴학의 구체적인 목적으로는 ▶‘학과공부 외의 취업 준비에 집중하기 위해’(44.7%)가 가장 많았는데, 일시적으로 전공 공부를 접어두고 단기간에 취업을 위한 준비를 완료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 ▶‘장기간이 소요되는 스펙(어학연수, 인턴, 공모전 등)을 쌓기 위해’(39.5%)라는 답변도 만만치 않았다. 그 외에 ▶‘취업 전까지 졸업을 늦추기 위해’(15.8%)처럼, 휴학을 취업 전 졸업 유예의 한 방편으로 삼았던 사람도 있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휴학이 취업이 도움이 되었느냐는 질문에는 대부분이 고개를 저었다. ▶‘별로 도움이 되지 않았다’(50.7%),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12.0%) 등의 부정적 답변이 전체의 62.7%로 절반을 훌쩍 넘어섰던 것. 물론 ▶‘다소 도움이 됐다’(37.2%)는 의견도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적었다.
도움이 되지 않은 이유로는 ▶‘애초 계획한대로 휴학 기간을 보내지 못해서’(39.3%)가 1위로 꼽혔다. 휴학기간을 어떻게 보낼 것인지에 대해 많은 목표를 세웠지만 그것을 계획대로 실천하기는 쉽지 않았던 것.
▶‘졸업이 늦어져 입사지원 시 연령 때문에 손해를 봐서’(23.3%)라는 답변도 많았다. 경력이 아닌 신입으로 입사해야 하기에 연령이 중요한 고려 조건 중 하나일 수 있는데, 이러한 점에서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받았다고 여기는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도 ▶‘지원분야에 대한 뚜렷한 목표 없이 휴학을 해서’(20.1%), ▶‘세부적인 계획을 제대로 세우지 않아서’(17.4%) 등의 이유가 있었다.
한편 요즘 대학생들이 졸업을 늦추는 이른바 ‘졸업유예’ 현상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냐는 질문에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으므로 제 기간에 졸업하는 것이 좋다’(51.9%)와 ▶‘취업에 필요하다면 졸업을 미루는 것이 좋다’(48.1%)는 의견이 팽팽히 맞섰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