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속한 신제품 개발과 철저한 고객분석,그리고 철저한 경쟁""신경영
2기"선포로 삼성의 향후 경영전략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비
즈니스위크 최신호(6월 16일자)는 "The Samsung Way"라는 커버스토리
를 통해 삼성의 성공비결을 이같이 분석했다.
비즈니스위크는 "소프트웨어와 컨텐츠에 대한 투자라는 "신경제의 교
리(New Economy dogma)"와는 반대로 하드웨어 부문에만 집중해온 삼성
이 눈부신 성공을 거둘수 있었던 것은 그룹전체가 몇가지 기본 원칙
을 공격적으로 실천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비즈니스위크는 삼성의 첫번째 성공비결을 시장환경 변화에 대응한 신
속한 신제품 개발로 꼽았다.
삼성이 신제품을 개발하는데 드는 평균 기간은 지난 97년의 14개월에
서 5개월로급격히 단축됐으며,이는 일본 라이벌 기업들의 절반밖에 되
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잡지는 카메라 폰 개발을 그 대표적 사례로 들었다.
삼성은 지난해 4월 도이체 텔레콤의 모바일 자회사인 T모바일 미국지
사와 카메라 폰 출시 계약을 맺은지 4개월만에 신제품 V205를 내놓았
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텔레콤 등 각 사업부문에서 80여명의 일류 엔지니
어들을 선발,집중적으로 제품개발에 매달린 결과였다.
철저한 고객 수요 중심의 제품 생산도 삼성의 또 다른 강점으로 지적
됐다.
삼성이 주력 제품인 메모리 칩에서 업계 평균보다 17%나 높은 가격을
받고도 경쟁력을 유지 할 수 있는 것은 제품의 60%를 기업들의 주문
에 맞춰 생산하는데 있다는게 비즈니스위크의 분석이다.
실제로 삼성은 델의 서버컴퓨터와 마이크로소프트의 게임기 X박스 그
리고 노키아의 핸드폰 등에 최적화된 메모리칩을 생산,공급하고 있다.
각 사업부문을 외부 경쟁사와의 철저한 경쟁환경에 노출 시킨것도 또
다른 성공요인이다.
일례로 삼성의 LCD사업 부문의 경우 LCD용 컬러필터의 절반은 일본의
스미토모케미컬로부터 수입해 쓰고 나머지 절반은 자체 생산해 사용한
다는 것이다.
외부 업체와의 경쟁을 통해 그룹내 해당 사업 부문의 경쟁력을 제고한
다는게 삼성의 전략인 셈이다.
이외에도 조직내의 의사결정 절차 간소화,한국의 발달된 IT인프라 등
도 삼성경쟁력의 원천으로 지적됐다.
그러나 이같은 강점에도 불구,고부가가치 산업인 소프트웨어나 컨텐
츠 부문에 대한 투자가 전무한 점은 향후 삼성의 지속적인 성장에 여
전히 장애가 될 수있다고 비즈니스위크는 경고했다.
또 모든제품 생산을 아웃소싱 없이 그룹내에서 소화하고 있는 점도 설
비투자부담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어,삼성의 경쟁력을 해칠 수 있
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