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경제 생산ㆍ수요 개선 움직임
지방경제 생산ㆍ수요 개선 움직임
  • 강석균
  • 승인 2009.08.21 12: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설수주ㆍ소비지수 늘고 제조생산 개선돼
2분기 들어서면서 지방 경기가 침체를 벗어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최근의 지방경제 동향'에 따르면 2분기 서울을 제외한 지역의 건설수주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1% 상승, 5개 분기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전분기 대비 주택매매가격도 0.3%로 플러스 전환했다. 미분양 아파트 물량은 3월말 16만3천182가구에서 6월말 14만3천500가구로 약 2만가구 줄었다.

건축 허가면적과 착공면적은 전년동기대비 -25.7%와 -20.2%로 여전히 마이너스였다. 하지만 월별로는 허가면적이 4월 -44.3%에서 6월 4.6%로 플러스 전환됐으며, 착공면적도 5월 -31.3%까지 떨어졌다가 6월 -2.4%로 감소폭을 줄였다.

다만 착공면적의 경우 지역별 편차가 컸다. 6월 수치를 보면 인천ㆍ경기가 15.4%, 대전ㆍ충청이 3.9% 증가한 반면 대구ㆍ경북은 -30.0%, 제주는 -25.7%, 강원은 -21.5%를 각각 기록했다.

한은 관계자는 "토목을 중심으로 한 공공부문 호조에 힘입어 신장세를 회복했다"며 "건설업 업황 기업경기실사지수(BSI)도 상승하고 있어 건설 체감경기가 다소 나아지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소비도 상당부분 회복해 대형소매점판매액 지수의 감소폭이 1분기 -3.7%에서 2분기 -0.7%로 둔화됐다. 특히 지난 4월 25.6% 감소했던 승용차 신규등록대수는 5월 25.8%, 6월 54.3%씩 증가해 분기 전체로는 16.2% 늘었다.

제조업 생산은 1분기에 -16.1%로 통계작성 이후 감소폭이 가장 컸지만, 2분기에는 반도체와 화학제품 생산이 활기를 띠면서 -6.6%로 감소세가 완화됐다.

7월에도 반도체, 액정표시장치(LCD), 자동차 등을 중심으로 수출이 늘어 개선 추세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수출은 -20.7%로 1분기 -25.4%보다 감소폭이 축소됐다. 정부의 희망근로 프로젝트 등으로 취업자수가 늘면서 고용률도 57.3%에서 59.5%로 다소 높아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