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자 90%, 구직활동 시 양극화 느낀다”
“구직자 90%, 구직활동 시 양극화 느낀다”
  • 곽승현
  • 승인 2008.09.16 11: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구직자 10명 중 9명은 구직활동을 하면서 양극화를 느낀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온라인 취업사이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자사회원인 구직자 1,162명을 대상으로 “구직활동을 하면서 양극화를 느낀 경험이 있습니까?”라는 설문을 한 결과, 90.4%가 ‘있다’라고 응답했다.

양극화를 느꼈을 때는 ‘기업별 신입 연봉 차이가 날 때’가 51%(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조건이 까다로워서 지원조차 못할 때’(48.7%), ‘주변에서 인맥으로 취업할 때’(37.4%), ‘취업 인프라가 서울, 수도권에 집중될 때’(28.2%), ‘지원 기업의 복리후생 차이가 날 때’(27.9%), ‘어학연수, 유학 등 해외체류 경험자를 우대할 때’(24.4%) 등의 순이었다.

양극화를 느끼게 하는 요소는 ‘학벌’(49.4%, 복수응답)을 첫 번째로 꼽았다. 이어 ‘외국어 보유 점수’(43.1%), ‘희망 연봉’(31%), ‘인맥’(29.6%), ‘학력’(29.2%), ‘연령’(25.3%) 등이 있었다.

양극화를 느끼는 것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취업 의욕을 저하시킨다’가 79.1%로 단연 높았다. 그밖에 ‘자극을 받아 더 열심히 노력하게 된다’(13.4%),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4%), ‘구직을 포기하게 된다’(3.5%) 순으로 나타났다.

구직활동을 하면서 양극화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82.4%가 ‘노력한다’라고 답했으며, 하고 있는 노력으로는 ‘외국어 공부’(50.6%,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 이외에도 ‘자격증 취득’(48.3%), ‘적극적인 구직활동’(41.4%), ‘마인드 컨트롤’(36.8%), ‘관련 업무 경력 쌓기’(30.1%) 등이 있었다.

한편, 양극화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는 37.8%가 ‘사회 인식 변화(학벌주의 타파)’를 택했으며, ‘국가 차원 중소기업 육성책’(21.7%), ‘국가 차원의 취업 교육 활성화’(15.1%), ‘구직자의 뚜렷한 취업 목표 확립’(13.7%) 등이 뒤를 이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