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산업 고용의 8%는 외국인투자 제조기업
국내 산업 고용의 8%는 외국인투자 제조기업
  • 임은영
  • 승인 2008.08.05 10: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용비중 자동차·전자·화학 분야 순

외국인투자 제조기업의 고용이 국내 산업 고용의 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산업연구원과 한국신용평가정보가 공동으로 외국인 투자자 1인 지분율이 10% 이상인 외국인투자기업 2109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2006년 기준 제조업 외투기업은 국내산업 매출의 13.4%, 고용의 8.0%, 수출의 12.2%를 차지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외투기업의 매출 비중은 2002년 11.5%에서 2003년 12.3%, 2004년 12.5%, 2005년 12.9%, 2006년 13.4% 등으로 꾸준히 늘었다. 고용 비중도 2002년 6.3%에서 2003년 7.2%, 2004년 7.3%, 2005년 7.3%, 2006년 8.0% 등으로 확대됐다.

특히 국내 산업 중 외투기업의 고용 비중은 자동차(19.0%)와 전자(17.2%), 화학(13.0%) 등의 분야에서 높았으며 수출 비중은 자동차(17.3%), 전자(12.1%) 분야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제조업 외투기업의 연구개발비는 모두 1조7000억원으로 국내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1%에 달했다.

한편 외투기업들에 국내 사업상 어려운 점을 질문한 결과, 높은 인건비(23%)를 꼽은 기업이 가장 많았고 과당경쟁(17%), 한국식 상거래 관행(11%), 전투적 노사관계(11%) 등이 뒤를 이었다.

외투기업들은 생산과 구매 조달은 자율성이 높은 반면, 신제품 출시나 해외 수출은 모기업의 영향력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외투기업의 65%가 원자재를 국내에서 조달하거나 대내외 균형 조달하고 있으며 35%만 해외에서 조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외투기업의 87%는 인접국보다 국내 투자성과가 더 높거나 평균이라고 평가했으며 더 낮다고 답한 기업은 11%에 불과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