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닝은 인터넷 등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쌍방향으로 학습 또는 교육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식경제부와 한국전자거래진흥원은 지난해 10월 26일부터 11월 23일까지 전국 만 3세 이상 인터넷 사용자 1,000명을 대상으로 이러닝 사용자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전체의 39.1%가 e러닝을 이용해 학습을 하고 있었으며, 올해 처음 조사 대상에 포함된 만 3∼5세 영유아들의 인터넷 이용률도 28.7%에 달했다.
영유아를 제외한 만 6세 이상의 이러닝 이용률은 39.4%로 2005년의 13.6%, 2006년의 27.8%에 비해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연령대별 이러닝 이용률을 살펴보면 만 6∼19세가 67.0%로 가장 높았다. 10명 가운데 7명 가량이 이러닝을 이용하고 있는 셈. 그 뒤는 50.7%의 이용률을 기록한 20대가 차지했다. 이는 전년보다 18.9% 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40대도 23.4%로 전년보다 12.0% 포인트 증가해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였다. 학교 중심의 이러닝 교육이 점차 평생교육 기회로 활용되면서 전 연령층으로 확산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한 해 동안 이러닝을 위해 개인이 지출한 금액은 총 7,351억원이었으며, 월 평균 이용금액은 2만9,000원이었다.
한편 지난해 국내 이러닝 시장 규모는 총 1조 7,270억원으로 전년 대비 6.8% 증가했으며, 총 사업자수는 전년보다 21.7% 증가한 756개였다. 특히, 지난해 신규 진입자 비율은 27.6%로 시장성장에 따라 활발한 시장진입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e러닝 관련 산업의 인력*은 전년 대비 1,129명(5.7%) 증가한 2만 773명으로 꾸준히 늘고 있었다.
* 이러닝산업인력: 13,248명('04)→16,413명('05)→19,644명('06)→20,773명('07)
지난해 새롭게 조사된 지적재산권 및 불법복제에 관해서는 이러닝기업의 26.9%가 지적재산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에 함께 실시한 '이러닝 도입실태' 조사 결과* 전국 803개 사업체 가운데 3.1%*만이 이러닝을 도입해 활용하고 있었고, 546개 정부 및 공공기관 가운데서는 56.9%가, 또 전국 350개 정규교육기관 가운데서는 74.3%가 이러닝을 도입해 사이버 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 사업체의 이러닝 도입률은 직원의 e러닝 학습에 대한 교육비 지원을 포함
이러닝산업실태조사는 e러닝산업발전법 제 27조에 따라 산업 규모와 현황을 파악해 관련정책의 기초자료 및 산업계·학계의 기본 자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실시되며, 세부내용은 한국전자거래진흥원 이러닝정보공유시스템(www.kelric.or.kr)을 통해 공개된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