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취업포털 잡코리아(www.jobkorea.co.kr)가 자사사이트를 통해 구직자 197명에게 ‘가장 자신 있는 면접유형’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 ‘일대일 면접’이 가장 자신 있다는 응답자가 66.0%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특히 이러한 응답은 남성 중 67.4%로 여성(64.8%)보다 남성구직자들의 일대일 면접에 대한 자신감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다음으로는 ‘이색면접’이 가장 자신 있다는 응답자가 10.2%로 상대적으로 많았고, 이어 △일대다 면접 (5.1%) △다대일 면접 (4.6%) 순으로 조사됐다.
반면 △프리젠테이션 면접 (2.0%) △합숙 면접 (2.5%) △집단토론 면접 (2.5%)이 자신 있다는 응답은 극소수로 조사됐다.
잡코리아 김화수 사장은 "면접유형에 따라 면접에서의 평가 기준과 내용이 다소 상이해질 수 있으므로, 면접유형에 주의해 면접을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래 잡코리아가 < 면접유형별 주의할 점 >를 제시했다.
< 면접유형별 주의할 점 >
■ 일대일 개별면접
면접관과 지원자가 일대일로 대면하는 면접형태인 일대일 개별면접에서는 면접관이 지원자를 다각도로 심층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자연스러운 대화와 질문을 통해 지원자의 많은 답변을 요구하므로 주의력을 잃지 않도록 해야 한다. 특히 질문에 대한 답변이 지나치게 길어지거나 산만해지지 않도록 해야한다. 질문에 대한 답변은 결론을 먼저 제시한 후 부연설명을 하는 방식이 좋다.
■ 일대다 면접
한 명의 면접관이 다수 지원자의 면접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동일한 질문이 다수의 지원자에게 동일하게 주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지원자들을 비교 평가하게 된다. 따라서 다른 지원자들의 의견도 경청하는 태도가 요구된다. 다른 지원자와 동일한 의견이라면 앞서 다른 지원자와 같은 의견이라는 전제 하에 자신의 의견을 덧붙이는 형식이 좋으며, 지나치게 다른 의견을 제시하려 하거나, 튀어 보이기 위해 과장하는 태도를 보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
■ 다대일 면접
다수의 면접관이 한 명의 지원자를 면접하는 유형으로. 각 면접관들에게 다방면의 질문이 두서없이 나올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원자의 다양한 측면을 평가하고 순발력과 순간 대처능력을 평가하기도 한다. 질문에 답변할 때에는 해당 질문을 한 면접관을 주로 응시하되 답변이 길어질 때에는 주위 면접관들에게도 시선을 분산해 자연스럽고 자신 있는 인상을 주는 것이 좋다. 면접관이 많으므로 자칫 주눅 들거나 위축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다대다 면접
다수의 면접관과 다수의 지원자가 참여하는 면접유형으로, 주로 실무진 면접(1차면접)에서 많이 응용된다. 자연스러운 대화를 통해 지원자의 업무경험이나 업무 스타일을 평가하게 되며, 다수 지원자들의 비교에 의한 평가를 하는 경향이 짙다. 다소 산만한 분위기에서 면접이 진행될 수 있으므로 긴장이 풀어져 집중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일대다 면접에서처럼 지원자들을 비교 평가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자신의 의견을 명확하게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고, 과장된 태도는 지양해야 한다.
■ 프리젠테이션 면접
주제에 대해 일정시간을 주거나 사전 공지된 주제에 대해 면접관 앞에서 발표를 하는 유형으로, 지원자의 발표력과 자신감, 기획력, 논리력 등을 두루 평가하는 면접유형이다.
프리젠테이션 자료는 논리적이고 일관적이어야 하며, 면접관의 시선이 발표 자료가 아닌 발표자에게로 향하도록 자료를 구성해야 한다. 지나치게 구체적인 자료는 면접관의 시선이 자료에만 머물도록 한다. 발표는 설득력 있고 자신감 있게 해야 하며, 자신 있는 태도와 정확한 발음, 목소리톤이 중요하다. 면접관들과 시선을 맞춰가며 강조부분에서는 적절한 손동작을 활용하는 태도 도움이 된다.
■ 블라인드 면접
면접관이 지원자의 입사지원서를 보지 않고 진행하는 면접유형으로, 다양한 선입관을 배제한 상태에서 지원자 개인을 평가하게 된다. 지원분야에 적합한 자신의 인적성적 실무적 역량의 강점을 부각시킬 수 있도록 답변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 과장된 답변을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집단토론 면접
하나 이상의 주제로 여러 지원자가 토론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고 면접관은 이 과정을 관찰하여 평가하는 방식이다. 대부분의 1차 면접 후 다음단계로 시행하게 되며, 개인의 발표력과 리더십, 논리력, 청취력, 이해력, 설득력, 협조성, 적극성 등을 토론과정을 통해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토론 진행 중 어떤 상황에서도 감정적인 대응 보다는 논리적이고 객관적으로 대응하도록 하며, 튀어 보이기 위해 과도한 리더십을 보이려 하거나 토론의 요지에서 벋어나 개인적 지식을 자랑하는 듯한 태도를 보이지 않기 위해 주의해야 한다. 토론은 타인의 의견도 경청하고 수용하면서 자신의 의견을 논리적으로 주장하고 설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 합숙 면접
합숙을 통해 지원자의 인성이나 태도와 업무역량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위한 면접유형이다.
진행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팀 프로젝트나 집단토론이 진행되기도 하므로 면접일정에 대한 사전 정보를 취득하고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일상 생활태도나 타인을 대하는 태도 등 다양한 관점의 평가로 기업문화에 어울리고 인재상에 부합되는 지원자를 선정하므로 이에 대해서도 주의를 기울여 준비해야 한다.
■ 이색면접
산행, 축구, 술자리, 요리 등 이색적인 면접방식을 통해 지원자를 평가하는 기업이 있다.
이색면접에서는 단순/명확하고 열린 사고력과 긍정적인 태도로 매사에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문제해결방안 도출을 위해 노력해야 하며, 분위기가 다소 완화될지라도 면접자리임을 간과하지 않고, 지나치게 긴장이 풀어지거나 주의력이 흩어지지 않도록 스스로 마인트컨트롤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