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비·청소 KS인증 시대 온다
경비·청소 KS인증 시대 온다
  • 류호성
  • 승인 2007.06.11 12: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달중 프로세스와 기반구조 기본안 나올 듯
평가기준 마련이 급선무, 책정단가는 면적단위로

경비·청소도 KS인증 시대가 올 전망이다.
산자부 지식서비스 산업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는 경비·청소 KS인증은 현재 한국서비스표준원에서 진행하고 있다.

한국서비스표준원의 국헌정 원장은 “현재 프로세스와 기반구조에 대한 대략적인 준비가 됐다”며 “오는 6월 중 자문위원을 구성해 업계의 의견을 반영하고 기존 안을 수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국 원장은 “경비분야는 현재 거의 마무리 단계이며, 청소분야는 해외사례와 연구사례 등을 찾아 보충해야 한다”고 말해 6월말까지는 경비·청소에 대한 KS인증 뼈대가 마무리될 예정이다.

특히 이번 경비·청소 KS인증에는 단가 측정 방식이 인당단가에서 면적단가로 바뀔 예정이어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동안 경비·청소 업계는 인당단가에 맞추다 보니 실제 투입해야 할 인원보다 적게 투입되는 경우가 발생해 서비스 질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했다. 이점을 보완하기 위해 이번 KS인증에서는 외국사례처럼 면적단가로 고정해, 경비·청소 인력들이 보다 주인의식을 가지고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도화시킨다.

업계 관계자는 “외국의 사례처럼 면적단가로 책정하는 것이 업계 입장에서는 반길 만한 일”이라며 “그러나 면적단위의 가격 기준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우선 그 기준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사실 경비·청소는 각각 경




업법과 위생관리법으로 관련 법이 구분돼 있고 소속기관도 경찰청과 보건복지부로 나눠져 있어 KS인증 작업이 쉽지 않은 분야이다.

국 원장은 “경비·청소는 소속과 관계법이 상이한데다 관련 논문도 찾기가 쉽지 않은 분야이다”라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또한 국 원장은 “경비·청소가 서비스 장소에 따라 모두 다르기 때문에 부록으로 첨가시켜야 할 사항들이 많다”고 말했다.

KS인증을 위해 해결해야 할 부분은 또 있다. 바로 대기업과 영세기업간의 극심한 차이로 인해 기준을 마련하기가 까다롭다는 것과 서비스를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 평가기준이 없다는 것이다. 국 원장은 “대기업과 영세기업간 차이로 인해 기준을 맞추기가 힘든 상황”이라며 “또한 바닥, 로비, 계단 등 각 부분에 대한 객관적 서비스 평가기준이 없어 인증 작업에 어려움이 많다”고 밝혔다.

그러나 경비·청소 KS인증이 이뤄질 경우 경비·청소를 활용하는 기업은 보다 품질 높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경비·청소 업체들은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돼 국내의 경비·청소 산업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는 “경비·청소 업체들이 KS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의 서비스를 갖춰야 하기 때문에 경비·청소 산업이 자연스럽게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정부 입찰시 KS인증 조항이 삽입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업체들은 살아남기 위해서라도 KS인증 획득을 위해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