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신규인력 채용부족률 23.5%
기업, 신규인력 채용부족률 23.5%
  • 강석균
  • 승인 2007.05.15 10: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기업은 7.8%, 중견·중소기업은 44.4%

중소기업, 인재부족 퇴사로 구인난 몸살

일자리가 부족해 구직자들이 극심한 취업난을 겪고 있는 가운데 오히려 기업들은 마땅한 인재를 구하지 못해 구인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인 인크루트(대표 이광석)가 186개사를 대상으로 ‘기업의 신규 채용 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 186개사가 2006년 신규 채용할 예정이었던 인원은 총 1만 2547명이었으나 실제 채용한 인원은 88.2% 수준인 1만 1071명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채용한 신규 인력들마저도 1년도 안돼 퇴사하고 있어 기업들의 인력 수급에 제동을 걸고 있었다. 186개사가 실제로 신규 채용한 1만1천71명 가운데, 1년도 안돼 1천473명의 퇴사자가 발생해 현재 일하고 있는 신규 인력은 9천598명으로 채 1만명도 되지 않았다. 결국 필요했던 인력 1만2천547명 중 23.5%가 부족한 9천598명으로 회사를 이끌어가는 셈이다.

특히 중견·중소기업의 인력수급 문제가 두드러졌다. 전체 기업의 채용부족률이 23.5%인 가운데 대기업의 채용부족률은 7.8%에 불과한 반면 중견·중소기업은 44.4%나 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즉 중소기업의 경우 필요한 인력의 절반 정도(55.6%)만으로 신규인력이 운영되는 셈이다.

또 중견·중소기업은 4천188명을 채용한 뒤에도 1천194명이 빠져나가는 등 어렵사리 확보한 인력의 1/3 가량이 1년내 빠져나가 인력확보와 인재유지의 이중고를 겪고 있었다.

분포별로 살펴보면, 필요인력을 모두 채용하고 현재까지 모두 근무하고 있는 채용률 100%인 기업이 대기업의 경우 20.6%, 중견·중소기업이 7.3%로 기업규모 상관없이 매우 낮은 편이었다.

특히 대기업의 경우 채용률이 80%~100%미만(49.2%)인 기업이 절반 가량을 차지하는 가운데, 중견·중소 기업은 채용률이 50%~80% (32.5%)인 경우가 가장 많았고 10%미만인 경우도 15.4%나 됐다.

그렇다면 예정한대로 신규로 필요한 인력을 수급하지 못하고 또 신규 채용한 인력마저도 빠져나가는 이유는 무엇일까?

기업들이 첫번째로 꼽은 요인은 ‘직무에 적합한 인재가 부족'(50.0%)하다는 것. 직장을 찾고 있는 청년실업자가 33만여명에 이르고 있는 상황에서 적합한 인재를 찾을 수 없어 채용을 못했다는 것이다. 결국 구직자와 구인기업 간의 눈높이 차이가 문제로 보인다. 그 다음은 ‘합격자의 입사거부 또는 신입사원 이탈'(24.3%), '지원자 부족(19.6%)' 등의 순이었다.

특히 중견·중소기업의 경우 지원자 부족이 21.7%로 높게 나와 중소기업 기피 현상이 여전한 듯 보인다. 인크루트 이광석 대표는 “국내기업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중소기업들이 일손 부족으로 기계를 멈추고 있는 사이 청년 실업자들은 계속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구직자와 구인기업 서로가 눈높이를 맞춘다면 지금보다 더 많은 채용이 일어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