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에 비해 부동산 임대료가 싸고 인력 확보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해 지방자치단체들도 시설보조금 지원, 지방세 감면 등 각종 인센티브를 내걸고 파급효과가 큰 콜센터 유치에 주력하고 있다.
대한생명은 지난 2일 부산에 300석 규모의 콜센터를 열었다. 지난달에는 제일화재가 200석 규모의 콜센터를 충북 청주에, 동부화재가 230석의 콜센터를 전북 전주에 열었다. 신한생명은 부산, 대전, 전주에 이어 4번째 지방소재 TM센터를 다음달 전남 목포

지방 이전의 관건은 인력확보다. 제일화재 관계자는 “콜센터 인력은 전문대졸 이상 출신이면 가능한데 지방 소재 대학이 의외로 좋은 인력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지방대학들은 콜센터 관련학과를 신설, 이전 기업들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기도 한다. 지자체는 지방경제 활성화를 위해 교육훈련·고용촉진보조금 등도 지원한다. 지방에서 인지도가 높아지는 것도 장점이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