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콜센터 지방이전 금융권이 주도
금융권 콜센터 지방이전 금융권이 주도
  • 김상준
  • 승인 2007.05.07 12: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방으로의 콜센터 이전이 금융권의 콜센터 및 전화상담판매(TM)센터가 주도하고 있다.

수도권에 비해 부동산 임대료가 싸고 인력 확보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해 지방자치단체들도 시설보조금 지원, 지방세 감면 등 각종 인센티브를 내걸고 파급효과가 큰 콜센터 유치에 주력하고 있다.

대한생명은 지난 2일 부산에 300석 규모의 콜센터를 열었다. 지난달에는 제일화재가 200석 규모의 콜센터를 충북 청주에, 동부화재가 230석의 콜센터를 전북 전주에 열었다. 신한생명은 부산, 대전, 전주에 이어 4번째 지방소재 TM센터를 다음달 전남 목포




에 연다. AIG생명보험은 AIG손해보험과 함께 오는 9월 전남 순천에 콜센터를 열 계획이다. 이에 앞서 하나은행은 콜센터를 지난 2002년 대전으로 이전했고 제일은행은 2005년 부산으로 옮겼다.

지방 이전의 관건은 인력확보다. 제일화재 관계자는 “콜센터 인력은 전문대졸 이상 출신이면 가능한데 지방 소재 대학이 의외로 좋은 인력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지방대학들은 콜센터 관련학과를 신설, 이전 기업들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기도 한다. 지자체는 지방경제 활성화를 위해 교육훈련·고용촉진보조금 등도 지원한다. 지방에서 인지도가 높아지는 것도 장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