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66% "비정규법 시행 후 일자리 잃을까 불안해"
비정규직 66% "비정규법 시행 후 일자리 잃을까 불안해"
  • 나원재
  • 승인 2007.04.27 09: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는 7월 비정규직법안 시행을 앞두고, 기간제근로자·계약직·파견직 등 비정규직 종사자들 10명 중 거의 7명은 향후 자신의 고용상태에 대해 불안해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아르바이트 전문사이트 알바팅(www.albating.com)과 알바82(www.alba82.com)가 비정규직 종사자 1천 458명을 대상으로 비정규직 법안 시행 후의 고용상태 변화에 대해 공동 설문조사한 결과 이 같이 밝혀졌다.

먼저 비정규직 법안이 시행되면 자신의 고용상태가 어떻게 달라질 것으로 예상하는지에 대해 물었다. 65.7%(958명)의 비정규직 종사자가 '직장을 잃을까 불안하다'고 답했다. '정규직화가 기대된다'는 의견은 17.6%(256명)에 머물렀다. 9.3%(136명)는 '모르겠다', 7.4%(108명)는 '관심없다'고 답했다. 10명 중 7명 꼴로 자신의 일자리에 대해 불안함을 드러내 비정규직법 시행에 대한 기대감보다 불안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형태)별로는 상대적으로 고용의 질이 높은 편인 대기업(73.8%)과 공기업(67.1%)의 비정규직 종사자들이 더 불안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소기업은 기대된다(20.0%)는 의견이 다른 곳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외국계 기업은 모르겠다(25.0%), 관심없다(20.8%)는 의견이 46%에 이르러 비정규직법 시행에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었다.

또 비정규직 시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는 요인도 물었다. 그 결과 24.6%(358명)가 기업 CEO의 결단이라고 답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다음으로 정규직의 인식(24.3%), 노동부 등 관계기관의 정책(24.0%) 등의 순이었다.

이에 대해 알바팅 관계자는 "비정규직에 대한 법안과 정책이 마련됐다 하더라도 CEO의 결정과 정규직의 인식 등에 따라 고용 안정성과 처우가 달라질 수 있다는 인식이 비정규직 종사자들에게 많은 듯하다"고 설명했다.

또 이들 비정규직 종사자들이 현재 가장 원하는 것은 고용 안정성으로 조사됐다. 58.7%(856명)가 비정규직 종사자에게 가장 필요한 것으로 고용 안정성을 1순위로 꼽은 것. 뒤를 이어 '임금, 복리후생 등 처우개선'(38.3%, 558명)을 원하는 것으로 답한 가운데, 기타 의견은 3.0%에 머물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