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원격대학 경쟁력 강화 추진계획"은 원격대학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하여 17개 전체 원격대학에 대한 교육과정, 수업, 경영 등에 대한 종합평가를 실시하고, 콘텐츠 개발 단계에서 품질관리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원격대학이 양질의 이러닝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한편, 자체 발전 전략을 기초한 특성화 프로그램 운영 비용을 지원할 예정이다.
2001년 원격대학 제도 도입 이후 처음 실시되는 원격대학 종합평가는 교육과정, 수업, 인적ㆍ물적 자원, 재정 등 학교 운영 전반에 대하여 실시할 예정이며, 이를 위해 해당 원격대학에서는 2∼3개월 동안 대학 자체 평가연구를 실시하고, 원격대학 관련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원격대학 평가위원회"에서 5월 중 서면평가와 현장평가를 실시할 예정이다.
금번 종합평가는 원격대학 제도 도입 이후 학령기를 넘긴 성인학습자에게 고등교육 및 재교육, 평생 직업능력 개발 기회를 제공하는 등 새로운 교육체제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나, 교육의 질을 담보하는 질 관리 체제가 구축되지 않아 수준 높은 원격대학으로 성장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에 따라 원격대학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이다.
교육인적자원부는 금번 평가 결과를 공개하여 학생ㆍ학부모 등 교육 수요자가 학교를 선택하는 데 도움을 주는 한편, 평가결과 우수대학에 대해서는 국제교류 및 소외계층 직업교육 등 특성화 프로그램을 운영 할 수 있도록 재정지원도 병행할 계획이다.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내실 있는 평가체제 구축을 위해 '06년 4월에서 11월까지 평가지표 초안을 개발하고, 17개 원격대학의 의견수렴 및 4개 원격대학에 대한 시범평가를 실시한 바 있다.
한편, 원격대학의 인적ㆍ물적 인프라에 비해, 학습의 질을 보장할 수 있는 교육용 콘텐츠의 질을 담보하기 곤란하다는 지적에 따라 2003년도부터 "원격대 교육용 콘텐츠 개발" 사업을 추진하여 우수 교육용 콘텐츠의 개발 경험을 통한 콘텐츠의 질적 개선을 유도하고, 콘텐츠 공동 활용을 통한 원격대학간 협력을 촉진하는 데 기여하여 왔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