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부터 공공부문 콜센터 아웃소싱 ‘봇물’
연초부터 공공부문 콜센터 아웃소싱 ‘봇물’
  • 김상준
  • 승인 2007.01.30 09: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 시작으로 경기도청까지 7~8곳 위탁
서울시를 시작으로 경기도청까지 7~8개 업체
공공기관마다 다른 지원자격 새로운 이슈로 등장

1월 초부터 서울시를 시작으로 불기 시작한 공공부문의 콜센터 아웃소싱바람이 봇물처럼 터지고 있다. 1월들어 서울시를 비롯해 고충처리위원회, 교육인적자원부, 관세청, 강남구청이 이미 제안을 마감하고 운영업체를 선정하거나 심의에 들어갔으며 경기도청, 입출국관리사무소는 제안요청서가 떠있는 상태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콜센터 아웃소싱 운영업체들은 주말도 반납한 체 제안서 작업에 열중하고 있다.

서울시와 고충처리위원회는 심의를 거쳐 각각 콜센터 아웃소싱 기업을 선정했다. 서울시는 코이드, 효성ITX가 선정됐고 고충처리위원회는 코이스와 엠피씨가 우선협상자로 각각 선정됐다.

지난해 공공부문 콜센터에 기대를 가지고 있던 기업들이 실망스런 한해를 보냈다면 올해는 연초부터 불기 시작한 콜센터 아웃소싱 바람으로 바쁜 하루 하루를 보내고 있다. 그러나 그 규모는 지난해에 비해 작다. 서울시가 24석을 시작으로 연내에 130명선으로 인원을 확대하고, 고충처리위원회가 120석 규모인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입찰에 나온 콜센터 규모가 10석 내외로 그리 크지 않다.

2004년 1차 콜센터 아웃소싱이 진행된 한전의 경우 2월경에 고객센터 관할 사업소 별로 입찰이 진행될 계획이고, 서울 경기지역을 제외한 지방으로 콜센터를 확대하기로 한 건강보험공단의 경우 추진 일정이 정해지지 않았으며 예산확보와 맞물려 당분가 이루어지기는 힘들 전망이다.




r>이런 가운데 각 공공기관마다 다르게 나오는 지원자격 시비도 이슈로 등장했다. 운영규모에 비해 몇 십배에 달하는 운영경험을 요구하거나 자본금규정을 업계의 현실에 맞지 않는 단위로 설정, 일부 대규모 업체만을 상대로 일을 쉽게 하기 위함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자본금 규정을 20억원으로 제한한 서울시의 경우도 14개 업체가 제안에 응시했으며 자본금 규정을 두지 않고 운영실적 50석의 제한만을 둔 고충처리위원회도 40여개가 넘는 업체가 몰릴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14개 업체만이 제안 입찰에 응시했다.

콜센터 업체 관계자는 “대부분의 기업들이 전략적이고 집중적으로 입찰에 응시하고 있기 때문에 일부에서 우려하는 문어발식 단순 입찰참여는 지양하고 있다”며 “작은 영업인력으로 최대의 성과를 올리기 위해서는 모든 입찰에 응시하기는 힘든 상황이어서 자격을 제한하거나 완화한다고 해서 지원을 늘리지는 않을 방침이다”고 말했다.

또 다른 문제로는 선정된 업체들간의 가격격차로 인한 업체들의 수익성 감소와 상담원들의 급여감소가 ‘뜨거운 감자’로 대두되고 있다. 운영업체로 선정된 기업간의 도급비 차이가 전체 금액의 10%이상 차이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면서 가격을 적정자격으로 쓴 기업이나 가격을 적정가격 이하로 쓴 기업 모두에게 치명타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가격을 통일하지 말고 상담원 급여만을 통일해서 적용하고 나머지 금액은 업체에서 각각 써낸 금액으로 관리비나 마진을 적용해야 가격덤핑을 막을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