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소기업 간 직원에 대한 교육투자비용이 극명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는 주요 원인으로는 중소기업의 교육관련 부서의 부재와 대·중소기업 간 근로자의 수의 차이로 교육을 담당할 수 있는 인력의 차출이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 결과 발표됐다.
지난 7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노동부와 공동으로 2006년 상반기동안 450여 개 기업과 1만 4000여 명을 대상으로 국내 첫 인적자본관리 실태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 사무관리직 신입사원을 기준으로 2000명 이상의 대기업은 교육비용으로 1인당 359만 원을 지출했으며, 중소기업은 이보다 약 1/7이 적은 1인당 54만원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산기능직 신입사원의 교육훈련 비용으로는 중소기업이 1인당 23만 원을 사용했으며, 대기업은 약 4배인 93만 원을 사용했다.
물론 대·중소기업 간 자본금 등의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는 주요 이유로는 인원의 부족을 꼽을 수 있다. 현재 중소기업은 인사관리와 관련된 부서가 대기업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교육에 집중을 할 수 있는 인력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특히, 교육을 담당할 수 있는 전문가의 부재가 가장 크다. 이로 인해 교육에 대한 관심의 저하가 나타나며, 교육 투자비용이 그만큼 떨어진다는 것이 업계의 지적이다. 이러한 차이는 결국 소속된 회사의 업무에 대한 이해도의 차이로 이어졌다. 이번 조사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업무 인지도는 대기업이 중소기업보다 7~9%로 높게 나타난 수치를 근거로 한다.
인적자원개발 전문가들은 정부 지원 프로그램만으로는 중소기업의 인적자원개발 수준을 높이는 데 부족함이 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업계의 관계자는 “이러한 해결책으로 지역 및 업종별 중소기업들이 공동으로 인력을 육성해야하며, 중소기업은 교육훈련제도 등을 갖춰나가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삼성경제연구소의 이갑수 수석연구원은 “이직 우려 때문에 중소기업은 근로자 교육에 소극적인 경향이 있다”며, “공동 교육과정을 개발하거나, 위탁 방식의 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밝혔다.
한편, 우리나라 전체 기업들의 교육투자는 전체 매출액의 0.3%로 미국기업의 1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