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7일 한국노동교육원(원장 선한승)은 국민노동의식을 알아보기 위해 리스파아르조사연구소에 의뢰, 지난 8월16일부터 3주간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18세 이상 65세 미만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면접조사에서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한국노동교육원은 이날 오후 프레스센터에서 제2개원 및 한국노동교육학회 창립 기념 심포지엄에서 서광범 노동교육원 교수가 이같이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 3년 동안 근로 의욕 변화에 대한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36.1%가 “근로의욕이 감퇴하고 있다”고 답해, 근로의욕 저하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보면 연령이 많을수록 근로의욕 저하가 심했다. 50대 이상 40.1%로 가장 높았으며 30대 36.9%, 40대 36.5%, 20대 이하 30.4%의 순으로 나타났다.
집단별로는 일반 직장인이 CEO·인사노무담당자나 공무원보다 더 근로의욕 감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직장인은 41.4%로 나타나 CEO·인사노무담당자 26.2%, 중앙직 공무원 39.6%, 지방직 공무원 34.9% 보다 더 높았다.
또한 노조 간부의 근로의욕 감퇴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눈길을 모았다. 노조간부는 49.8%로 조합원 응답률(30%)보다 훨씬 높은 절반가량이 근로의욕 감퇴를 느끼고 있었다.
서광범 교수는 이와 관련해 “이 조사결과를 통해 일반 기업에서 근무하는 직장인 중 상당수가 고용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고 이것이 근로의욕 감퇴의 원인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며 “고용안정이나 생계유지와 같은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돼야 직장에 대한 소속감이나 자기계발, 성취와 같은 보다 차원 높은 동기를 갖고 직장에 몰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업이나 정부의 고용안정에 대한 관심과 대책이 시급히 요청된다”고 주장했다.
한편 근로의욕을 높이기 위한 요소에 대해서는 ‘능력과 적성에 맞는 인력배치’(29.7%), ‘사용자의 인간적 경영’(25.3%), ‘충분한 임금수준’(19.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서 교수는 “능력과 적성에 맞는 인력배치를 통해 일 자체로부터 만족감과 성취감을 높여주고 충분한 보상체계를 구축해 직무불만족 요인을 치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