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의 핵심은 물류자회사를 두고 있는 대형 화주(貨主)기업들이 과연 제3자인 종물업 인증기업에 대해 아웃소싱을 확대할 수 있겠느냐다.
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다국적 물류기업과 경쟁할 수 있는 글로벌 물류기업을 육성하겠다는 취지로 마련한 '종물업 인증제'가 시행 세 달째를 맞고 있지만, 제자리를 찾지 못한 채 사실상 겉돌고 있다.
이처럼 종물업 인증제가 답보상태에 빠지게 된 데에는 화주기업의 유인책이라 할 수 있는 '세제 지원안(案)'이 확정되지 않은 것도 문제지만, 무엇보다 '대형 화주기업→물류자회사'로 이어지는 불합리한 연결고리가 더 큰 문제라는 지적이다.
대형 화주기업과 물류자회사간

정부는 당초 종물업 인증제 시행을 통해 화주기업의 능동적 물류시장 참여를 독려한다는 계획이었다. 이를 통해 국가 물류비 개선과 물류경쟁력 확보에 나선다는 방침이었다.
특히 대기업 자가물류(1자물류) 또는 자회사를 통한 물류수행(2자물류) 등 전통적인 물류산업의 시장구조를 개혁하겠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상황만으로 볼 때 이는 장밋빛 청사진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종물업 인증제가 실효를 거두기 위해선 화주에 대한 세제 지원도 물론 필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대형 화주기업과 물류자회사간의 유착관계를 끊게 하는 것"이라며 "이들이 인증기업에 물량을 맡기는가가 앞으로 종물업 인증제의 성패를 좌우하는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