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부문 비정규 대책 “인력 아웃소싱시장 영향 없다”
공공부문 비정규 대책 “인력 아웃소싱시장 영향 없다”
  • 남창우
  • 승인 2006.09.05 12: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열린우리당 법적 테두리 안 운영상의 변화 없을 것
한나라당 파견·도급 규모 크지 않아 별 영향 없을 듯

정부는 공공부문 전체 총인원의 20.1%(31만 1천여 명)를 차지하고 있는 비정규직의 처우 개선 등 공공부문 비정규직 보호 대책을 발표했다. 하지만 이와 관련해 파견 및 도급 등 인력공급 아웃소싱 사업에는 별다른 파장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열린우리당과 정부는 지난 8일 당정협의를 열고 ‘공공부문 비정규직 종합대책’을 확정, 발표했다. 정부는 공공부문에서 ▶기간제를 사용하는 상시, 지속적인 업무의 무기 계약 ▶비정규직 처우 개선 및 지도 감독 강화 ▶외주화 기준 정립을 통한 규제 등을 골자로 하는 공공부문 비정규직 대책을 발표했다. 공공부분 5만 4천여명의 비정규직을 정규직인 무기예약 근로자로 전환한다는 게 핵심이다.

공공부문 비정규직 대책 발표로 정부는 몇 년째 시간끌기로 놓여 있던 비정규직 문제에서 일단 의미 있는 한 걸음을 내디뎠다. 그러나 당장 재계가 고용시장 경직 등을 이유로 반발하고 노동계 또한 목소리를 높이는 등 이번 정부의 발표에 각 계의 입장을 명확히 드러난 것으로 나타났다.

경총은 “인력 활용 유연성은 기업 간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필수 요소”라며, “정부가 세금으로 비정규직 문제를 손쉽게 해결하려는 것은 편의주의적 행정”이라고 비난했다. 또한, 대한상의도 “앞으로 민간영역에서의 정규직화 요구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




으며 노사분규가 급증하지 않을까 염려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노동계는 “전면적인 외주화, 민간위탁 정책”이라며 비판하고 나섰다. 비정규직의 차별적인 현실을 개선하는 데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주장인 셈이다.

또 “무기근로계약으로 전환하는데 드는 추가비용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라는 이상수 노동부 장관의 발언에 대해 “외주화·민간위탁 전환의 경우 정규직 전환이 아니라 간접고용 비정규직으로 전락하게 되는데 무슨 추가비용이 들겠느냐”고 비꼬았다.

한편, 열린우리당 및 한나라당은 이번 ‘공공부문 비정규직 종합대책’에 대해 파견 및 도급 등의 인력공급 아웃소싱 시장에서의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해석했다.

열린우리당 정책국의 노학래 전문위원은 “이번 발표는 비정규직법안과 관련해 합리적인 방법 모색 및 남용, 차별 등의 반대”라며, “파견과 도급은 법적 테두리 안에서 지켜나가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도급의 경우, 위장도급 등이 문제가 되는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도급운영 시장에는 별다른 영향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나라당의 유기성 전문위원은 “공공부문 비정규직 종합대책으로 인해 파견과 도급 등 인력운영 아웃소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며, “파견과 도급은 규모가 크지 않고 별도의 대책이 있을 것이기 때문에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될 부분”이라고 답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