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온라인 리크루팅 업체 잡코리아(www.jobkorea.co.kr)와 헤드헌팅 전문포털 HR파트너스(www.hrpartners.co.kr)가 기업 인사담당자 2,088명을 대상으로 ‘우수인재 관리 방안’에 대해 조사한 결과, 20.1%의 기업들이 우수인재는 별도의 인사프로그램 등을 통해 따로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 규모에 따라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 대기업의 경우는 무려 80.8%가 외국계기업은 55.6%의 기업이 우수인재 관리를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반면에 중소기업 중에서는 14.5%의 기업만이 우수인재 관리를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돼 기업간의 불균형 현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수인재 확보 방안으로는 외부영입보다는 내부시장 자체에서 육성한다는 기업이 71.6%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반면, 스카우트나 외부영입으로 우수인재를 확보한다는 기업은 28.4%에 그쳤다
우수인재에 대해서는 △CEO가 직접 관리하고 있다는 기업이 59.6%로 가장 많았으며, 별도의 핵심인재 육성 시스템 등을 가동한다 17.6%로 집계됐다. 반면에, 우수인재에 대한 차별 관리 없이 모든 인재는 동등하게 대우한다는 기업도 18.6%로 조사됐다.
특히 기업별로는 대기업의 경우는 우수인재들을 관리하는 별도의 핵심인재 육성 시스템을 가동한다는 기업이 60.3%로 가장 많았으며, 중소/벤처기업의 경우는 CEO가 직접 관리한다는 의견이 64.0%로 가장 많았다. 반면에 공공기업의 경우는 모든 인재는 동등하게 대우한다는 의견이 56.9%로 타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았다.
기업들이 생각하는 우수인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개인의 능력에 적합한 대우와 보상을 제공해야 한다는 의견이 47.1%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직업의 안정성 보장과 미래에 대한 비전 제시를 지적한 의견도 44.4%로 많았다. 이 외에 소수 의견으로는 △자기계발 및 학습의 기회 제공(5.6%) △직업적 성장이 가능한 부서로 배치(1.9%) 등의 의견도 있었다.
한편 기업들이 우려하는 핵심인재 유치로 인한 문제점으로는 시장가치가 높은 만큼 언제든지 회사를 떠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한 의견이 45.5%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핵심인력에 대한 체계적인 육성 부족 29.2% △업종간의 지나친 스카우트 경쟁 13.6% △비핵심 인력으로 분류된 절대 다수의 사기 저하 10.9% 등의 의견이 있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