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에 2만2천명의 산업기술 일자리 창출
작년에 2만2천명의 산업기술 일자리 창출
  • 남창우
  • 승인 2006.07.18 11: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업기술인력 중 20~30대가 76%이상을 차지

산업자원부는 한국산업기술재단을 통해 2005년 산업기술인력 수급실태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발표했다.

산업기술인력이라 함은 사업체에서 연구개발 및 기술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전문대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이공계 전공자를 발한다.

이번 조사는 산업기술인력에 대한 정확한 실태조사를 통해 인력수급 전망시스템의 기본 자료로 활용하고 정부 및 대학 등의 인력양성에 대한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추진되었다.

조사는 제조업(8대 주력기간산업 포함)과 사업서비스업 등 24개 산업의 근로자 10인 이상 사업체 중에서 표본사업체 7,849개를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조사내용은 산업기술인력에 대한 산업별·직종별·지역별 현황 및 부족 인원 현황, 1년 후 채용 예상인원, 산업기술인력에 대한 만족도 등이다.

조사결과, 8대 주력기간산업을 포함한 제조업 및 사업서비스업 등 24개 산업의 사업체가 2005년도에 채용된 인원은 63,098명, 퇴사한 인원은 40,909명으로 2만2천여명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되었다.

채용인원 중 경력자는 55%, 신입자는 45%를 차지하였는데 이는 신입자에 대한 재교육비가 많이 들고, 대학교육이 산업계요구와 적합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산자부는 재교육비 절감을 위해 ‘산업현장 재교육사업’의 내실을 강화하는 한편, 대학내 공학교육 혁신, ‘산업계 맞춤형 교육’ 등을 적극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2005년12월 31일 현재, 24개 산업에 종사하는 산업기술인력은 전체 근로자(3,363,219명)의 15.6%에 해당하는 524,419명이다.

이중 제조업 종사자가 338,636명으로 전체 산업기술인력의 64.6% 이며, 8대 주력기간산업 종사자는 273,212명으로 52.1%를 차지했다.

연령대별로는 30대(50.9%)와 20대(25.5%)가 전체 산업기술인력의 76.4%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 40대는 19.1%, 50대는 4.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종별로는 기계공학 기술자가 56,459명(10.8%)으로 가장




장 많고, 그 다음 전자공학 기술자가 44,544명(8.5%), 생산관련 관리자가 36,133명(6.9%)의 순이다.

학력별로는 학사가 286,961명, 전문학사가 163,996명으로 학사와 전문학사의 비중이 86.0%로 조사되었으며, 고용형태별로는 정규직 비중이 98.6%를 차지하고 있어 비교적 안정적인 고용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낟.

성별로는 남성의 비중이 91.0%로 여성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산업에서 남성 기술인력이 99.5%, 섬유산업에서는 여성 기술인력이 36.1%로 나타났다.

산자부는 우수한 여성인력의 공학계열 진입을 유도하고 공과대학 여학생의 산업계 진입촉진을 위해 ‘WATCH21 사업’, ‘여학생공학교육선도대학 육성사업’등 다양한 여성특화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할 계획이다.

지역별로는 경기도(30.6%)와 서울특별시(25.8%)에 산업기술인력이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산자부는 수도권과 지방간 인력편차 해소를 위해 장기적으로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대학의 이공계 석박사급 인력양성을 지속적으로 추진(지역혁신인력양성사업)하는 한편, 지역의 환경적 요인과 특성을 반영한 지역밀착형 ‘기술인력 클리닉사업’을 본격 시행하여 지역 기업체의 인력난을 해소해 나갈 계획이다. 0

한편, 산업기술인력의 전체 부족률은 5.86%로서 제조업 중에서는 기계산업의 부족률이 9.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공별로는 자연계 인력(3.64%)보다 공학계 인력의 부족률(6.12%)이 높게 나타났다.

산자부는 기계산업분야에 대한 인력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기계분야의 9개 산학협력중심대학의 인력양성 사업을 내실화하고, 2010년까지 공과대학의 50%까지 공학교육인증을 확대하여 대학의 공학교육을 산업계의 요구에 맞는 교과과정으로 개편을 유도하는 한편, 공학교육 인증에 산업계 인사참여 촉진을 통해 공학계인력 부족을 적극 해소해나갈 계획이다.

산업자원부는 수요자 중심의 산업기술 인력양성체계를 구축 하기 위하여, 매년 12.31일을 기준으로 산업기술인력 수급현황에 대한 정기적인 실태조사를 추진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