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한국경영자총협회(회장 李秀永)가 전국 종업원 100인 이상 374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대졸 신입사원 채용실태 조사』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05년 입사한 대졸 신입사원의 평균 연령은 28.2세, 학점은 3.55점(4.5만점), 영어성적은 토익 700점 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출신학교는 서울소재 대학교 43.9%, 지방소재 대학교 54.9%로 지역별로 고른 분포를 보였으며, 채용과정 중 면접전형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나 실제로 입사후 업무 관련 소양은 부족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의 경우 대졸 신입사원의 평균 연령은 28.1세, 학점은 3.52점이었으며, 출신학교는 지방소재 대학교 비율이 64.8%, 영어성적은 토익 700점대가 37.9%로 각각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반면, 비제조업은 평균 연령 28.3세, 학점은 3.61점이었으며, 출신학교는 서울소재 4년제 대학교 비율이 66.7%, 영어성적은 토익 800점 이상이 45.5%로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산업별 인적속성의 차이는 제조업의 경우 주요 생산라인이 지방으로 분산되어 있어 적응에 큰 어려움이 없는 현지 인력의 채용을 더 선호하는데 반해, 금융 ·보험업, 일반 서비스업 등 비제조업의 경우 본사가 서울에 집중되어 있어 제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서울소재 대학교 출신인력을 선호하는 경향을 갖고 있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의 경우 대졸 신입사원의 평균연령은 27.5세, 평균학점은 3.60점이었으며, 출신학교는 서울소재 대학교 비율이 59.7%, 영어성적은 토익 800점 이상이 42.2%로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중소기업은 평균연령 28.6세, 평균학점은 3.51점이었으며, 출신학교는 지방소재 대학교 비율이 65.1%, 영어성적은 토익 700점대가 30.8%로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기업규모간 인적속성의 차이는 중소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임금 및 근로조건이 우수하고, 고용의 안정성이 높은 대기업에 취업희망자들이 몰리면서 채용평가시 일부 객관적인 지표로 나타나는 학점, 토익점수 등에 인플레가 나타났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대기업의 경우 중소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서울에 소재해 있는 비율이 높아 서울소재 대학교 출신 신입사원 비중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