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취업사이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직장인 721명을 대상으로 “직장생활을 하면서 언어폭력을 당한 경험이 있습니까?”라는 설문을 진행한 결과, 84.6%가 ‘있다’라고 응답했다.
언어폭력을 행사하는 주체로는 ‘직장상사’가 90.5%로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상대가 폭력을 행사하는 이유로는 ‘가해자의 스트레스 해소’라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45.9%로 가장 많았고, ‘개인적인 감정’ 22.3%였으나, ‘업무에 대한 질책’은 23.1%에 그쳐 언어폭력이 불합리하게 가해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훨씬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폭력의 유형으로는 ‘인격모독이나 비하하는 말’ 32.1%, ‘비꼬거나 조롱하는 말’ 22.8%, 경멸하거나 무시하는 말’ 15.6%, ‘윽박지르기’ 12.8%, ‘욕설’ 8.7% 순이었다.
언어폭력으로 인해 생기는 증상으로는 ‘의욕상실’이 54.9%로 절반이상을 차지했으며, 그 다음으로는 ‘소화불량’ 15.9%, ‘두통’ 14.1% 등이 있었다.
언어폭력을 당한 후 느끼는 감정은 ‘퇴사 충동’이 49%로 가장 많았고, 그 외에 ‘분노’ 19.2%, ‘반항심’ 14.9%, ‘보복심’ 14.3% 등을 꼽았다.
언어폭력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방법으로는 44.9%가 ‘직장동료나 친구와 뒷담화로 푼다’고 응답했으며, ‘술 마시고 푼다’ 24.4%, ‘기타’ 13.8%, ‘운동’ 7.2%, ‘여행, 영화 등 문화생활’ 6.7% 순이었다.
특히 여성의 경우는 ‘뒷담화로 푼다’는 응답이 56.8%에 이르러 남성(33.9%)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한편, 언어폭력으로 인한 충격의 정도는 ‘육체적인 폭력보다 심하다’가 61.6%로 가장 높았으며, ‘비슷하다’ 34.9%, ‘육체적인 폭력보다는 약하다’는 3.4%에 불과해 그 고충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인의 김홍식 사업본부장은 “흔히 언어폭력에 대해서는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여과되지 않은 말은 상대방에게 오래도록 큰 상처로 남기 쉽다. 바람직한 직장문화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구성원간의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서로를 존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