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부 산하의 고용안정센터가 운영하는 워크넷은 참여정부가 국가적 과제로 매달리고 있는 일자리 창출 대책의 하나로 2003년에 개설, 하루 20만∼25만명이 접속하고 있다.
워크넷에 대한 불만의 소리가 높은 것은 구인ㆍ구직 정보에 대한 검증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구인 업체의 허위 과장 정보에 낭패를 보는 구직자들이 늘어나는가 하면, 업무에 적절하지도 않은 사람을 소개 받아 난감해 하는 기업들의 불평도 많다.
구인 업체가 기업 규모나 급여 수준, 복지 혜택 등을 사실과 다르게 워크넷에 올려 선량한 구직자들에게 상처를 주는 것은 등록 자격에 대한 검증 절차가 허술한 탓이다. 센터 직원이 전화로 등록 정보의 사실 여부를 알아보는 경우 업체가 거짓으로 대답하더라도 이를 확인할 길이 없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현장 방문이 현재로서는 최선이지만 인력이 모자라 일일이 업체를 찾아 다니기 힘든 형편이다. 고용안정센터의 한 관계자는 “고용보험에 가입해 있고 최저임금 이상의 조건을 내세운 기업이라면 등록을 거부할 수 없는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워크넷이 알선하는 일자리의 질에 대한 원성도 많다. 지난해 센터를 통해 제공된 일자리 수는 70만5,000명이었고, 이 가운데 단순 노무ㆍ기능직이 44만명으로 전체의 약 62%를 차지했다. 또한 센터 소개로 31만7,000명이 취업했는데 평균 임금은 130만원에 그쳤다.
노동부 관계자는 “워크넷이 출범한 지 얼마 안돼 부족한 게 많은 건 사실”이라며 “영리를 취하는 다른 취업 포털사이트와는 달리 믿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여러 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