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로 두산중공업의 경우, 올해부터 자사가 개발한 인ㆍ적성검사를 도입키로 했다. 단순한 성적평가뿐 아니라 그룹에서 추구하는 고유가치를 적용해 인재들의 됨됨이, 적응능력 등을 평가하기 위해서다.
김명우 두산중공업 인사담당 상무는 “이제는 성적만으로 인재를 평가할 수 없는 시대가 됐다”며 “채용 지원자의 심성과 회사에 대한 적응능력을 더욱 중요하게 평가하기 위한 잣대를 적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두산중공업 외에도 상당수의 대기업이 올해 대졸 신입사원을 채용하면서 인ㆍ적성평가를 중시하는 등 채용 방식을 바꾸고 있다.
또한, 삼성전자의 경우 올 하반기 공채 때부터 한국공학교육인증원에서 인증한 프로그램을 이수한 구직자를 우대할 방침이며, 수시채용에서 정기 공채 방식으로 전환한 LG전자는 올해부터 1단계 면접을 직무ㆍ인성면접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LIG손해보험도 업무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실무형 인재를 뽑기 위해 면접 전형을 강화할 계획이며, 메리츠화재는 토론면접을 도입한다. 한국서부발전과 농수산물유통공사는 각각 토익ㆍ토플성적 가산점제도와 전공 필기시험을 폐지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