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처우를 개선하고 복지예산을 균형적·효율적으로 배분하여 공무원 복지 형평성을 제고하는 한편 선택의 폭을 넓혀 복지만족도 제고 및 행정의 효율성 향상을 도모하고자 2006년부터 정규직은 물론 비정규직을 대상으로 선택적 복지제도를 도입 운영키로 하였다.
공무원 선택적 복지제도는 사전에 설계된 다양한 복지항목 중 공무원 개인에게 배정된 복지예산 한도 내에서 개인의 욕구와 필요에 따라 복지항목 및 수혜수준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제도로 중앙행정기관의 2003년 시범실시에 이어 2005년 전면 확대실시에 따라 전주시에서도 자체 예산을 확보후 실시하게 된다.
공무원 개개인에게 배정하는 복지예산은 공통포인트 및 근속·가족사항을 기준으로 지급되는 포인트와 행정성과 평가를 기준으로 우수부서 가산포인트의 합하여 최소 300포인트(1포인트=1천원)에서 최대 600포인트까지 배정하게 되며, 2006년도 복지예산으로 1,152백만원이 확보되어 있는 상태다.
복지서비스 항목으로는 의무적으로 선택해야 하는 기본항목과 자율항목을 나뉘어져 있으며, 기본항목으로는 생명상해보험이 있고, 자율항목으로는 종합건강진단(암검진), 휴양시설(임차시설 및 콘도 등) 이용, 유료주차장 이용, 건강관리, 자기계발(학원수강 등), 문화/레져, 가정친화(꽃·케익배달 등) 등이 있다.
전주시에서는 공무원 선택적 복지제도 시행을 위하여 그간 전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기본계획을 수립, 전주시 공무원 선택적 복지제도 운영규정 제정 공포하였다.
선택적 복지제도 위탁 운영기관 선정을 위하여 제안공고를 실시하고, 위탁기관이 선정되는대로 빠르면 2006. 4. 1부터 공무원 복지카드를 발급, 시행하기로 하였다.
한편, 전주시에서는 공무원 선택적 복지제도 시행으로 공무원 복지예산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운영과 복지 서비스의 만족도 제고를 통하여 행정능률의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