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물업 인증은 애당초 제조나 유통업체가 물류 분야를 전문기업에 아웃소싱해 효율을 높이고 글로벌 물류기업을 육성한다는 취지로 추진돼 왔다. 그러나 종물업 인증의 핵심이었던 세액공제가 제외되면서 실질적인 혜택이 없어지고 복잡한 인증절차 등으로 인증비용이 만만찮아 중소물류업체에는 큰 부담이 되고 있는것.
21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주까지 10개 물류업체가 종물업 인증 사업자 선정을 신청, 이르면 4월께 첫 인증기업이 선정될 전망이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세제혜택이 빠진 종물업 인증은 별 의미가 없다는 판단이다.
당초에는 종물업 인증만 받으면 화주기업들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었으나 중소 물류업체들의 반발로 인증업체에 대한 세제혜택이 제외되고 그 대신 인

업계 관계자는 “세수 적자라는 문제와 주관부처라 할 수 있는 건교부의 종용이 약해지면서 재경부 역시 별다른 노력을 보이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복잡한 인증절차로 관련비용도 만만찮다. 한 업체 관계자는 “차적부 등 필요한 문서가 너무 많아 두 트럭 이상을 제출해야 할 판”이라며 “준비인원은 물론 인증 비용도 부담이 크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이에 대해 건교부 관계자는 “종물업 인증에서 세제혜택을 제외시킨 것은 대규모 물류업체들에만 혜택이 돌아가기 때문”이라며 “인위적인 시장왜곡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