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가 취업자에 이어 경제활동인구에서도 30대를 제치고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해 노동시장의 실질적인 주력 계층으로 등장했다.
또 경제활동인구에서 20대와 30대의 비중은 줄어들고 50대와 60대이상의 비중은 높아지고 있어 노동시장에서도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경제활동인구 2천374만3천명 가운데 40대는 647만명으로 27.2%를 차지해 30대(633만2천명, 26.7%)를 제치고 가장 높은 비중을 기록했다.
연간 기준으로 경제활동인구에서 40대의 비중이 30대를 추월한 것으로 처음이다. 취업자와 실업자 등 노동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을 나타내는 경제활동인구에서 40대 비중이 가장 높다는 것은 경제활동의 주역이 30대에서 40대로 교체됐음을 의미한다.
40대와 30대 다음으로는 20대(455만9천명) 19.2%, 50대(369만2천명) 15.6%, 60세 이상(241만3천명) 10.2%, 15~19세(27만8천명) 1.2% 등의 순이었다.
경제활동인구의 연령대별 비중변화를 보면 60대는 전년의 9.8%보다 높아져 연간 기준으로 처음 10%를 돌파했으며 50대도 전년의 14.6%보다 올라갔다.
하지만 20대는 전년의 20.0%에서 10%대 후반으로 추락했으며 30대 역시 1년 전의 27.2%에 미치지 못하고 감소세를 이어갔다.
지난해 취업자의 연령별 비중에서도 40대가 27.6%로 가장 높았고 30대(26.8%), 20대(18.4%), 50대(15.7%), 60세 이상(10.4%), 15~19세(1.1%)가 뒤를 이었다.
특히 40대는 취업자의 연령별 비중에서 2004년 27.5%로 처음 30대(27.4%)를 앞질렀고 지난해에는 30대와 격차를 더 벌렸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