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 앞으로 물류인프라와 시스템에 대한 획기적인 투자가 이뤄지지않으
면 참여정부가 내세우는 동북아물류중심(허브)국가 달성은 요원한 것
으로 지적됐다.
최근 건설교통부와 교통개발연구원의 분석에 따르면 지난 2001년 한해
동안 운송, 보관, 하역, 포장, 정보 등 물류활동을 하는 데 들어간
총 경비는 67조5천억원으로 전체 GDP(국내총생산)의 12.4%를 차지했
다.
이같은 물류비용부담은 일본의 9.59%,미국의 9.5%에 비해 월등히 높
은 수준으로 한국의 물류여건이 선진국에 비해 뒤떨어져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물류인프라, 시스템구축 시급
물류비 부담 매년 10% 급증
특히 지난 91년이후 11년동안 정부가 약 1백조원을 들여 도로 공항등
을 확충했지만 물류비부담은 매년 평균 10% 불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경제발전에 따른 GDP증가에 불구하고 물류비용이 계속 늘어난 결과,
국내 물류여건은 전혀 개선되지않고 GDP대비 국가총물류비 비율은 12%
대에 머물고 있다.
건교부는 “도로등 물류인프라를 많이 확충했지만 자동차의 급증과 택
배등 신물류 수요 팽창등으로 나라 전체의 물류효율이 개선되지않아
수송비 부담이 늘어날 수 밖에 없는 구조”라고 분석했다.
실제 지난 91년 12조8천억원 수준이었던 연간 국내 수송비 부담은 연
평균 13.3%씩 증가해 2001년에는 44조9천억원으로 불어났다.
GDP에서 수송비가 차지하는 비중도 같은 기간 6.0%에서 8.2%로 높아졌
다. 신동선 교통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홈쇼핑과 전자상거래가 활성
화로 “다빈도소량 운송”이 급증하는데다 화물연대 파업등으로 운임
료 인상이 불가피하기때문에 앞으로 상당기간 수송비절감등을 통한 물
류효율개선은 기대하기 힘들 것”이라고 진단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