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 고령화 추세 지속, 평균근로자 연령 38세
근로자 고령화 추세 지속, 평균근로자 연령 38세
  • 승인 2005.12.22 12: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나라 근로자의 평균 연령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한국경영자총협회는 '기업내 근로자 고령화 현황과 정책과제'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 근로자 평균연령은 1980년에 28.8세였으나 2004년에는 이보다 8.7세 증가한 37.5세를 기록해 근로자의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근로자의 연령구조변화가 국민전체의 고령화 추세와 매우 흡사하게 진행되어 현재와 같은 속도로 근로자의 평균연령이 지속 증가한다면 근로자 평균연령은 2010년 40.2세, 2020년에는 43.9세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러한 고령화 추세로 인해 우리나라 핵심근로자 계층이 20대 이하에서 40대 이상으로 전환되었다고 밝혔다. 1980년대의 경우 20대 이하 근로자 비중이 60.6%였으나 2004년에는 27.5%로 절반 이하로 줄어든 반면, 40대 이상 비중은 1980년 15.7%에서 2004년 39.5%로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연령대별 근로자 분포가 완전히 달라졌다.

기업 규모별로 근로자 평균연령을 봤을 때, 중소기업(300인 미만)은 1980년 29.8세에서 2004년 37.8세로 8세 증가하였으나, 대기업은 1980년 27.5세에서 2004년 36.5세로 9세 증가하여 대기업이 중소기업보다 고령화 진행 속도가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근로자 고령화 원인으로, ▲임금.고용 등 노동시장의 유연성 부족, ▲경력직 위주의 채용관행 확산, ▲고학력화로 인한 노동시장 진입연령의 증가 등을 꼽았으며, 근로자 고령화 부작용으로는 ▲근로자 요구 증대에 따른 기업 부담 증가, ▲기술습득능력 부진과 생산성 저하, ▲청년계층의 노동시장 진입장애와 노동시장 양극화 심화, ▲인사적체 심화로 조직구조 왜곡 등을 지적했다.

경총은 고령화 문제 해소를 위한 정책과제로, ▲직무급 또는 성과급 임금체계 도입, ▲산업수요에 부응하는 교육체계 확립, ▲인위적 정년연장보다는 고령자 수요기반 확충, ▲전직지원의 활성화 등을 제시하며, 향후 노사정 등 모든 경제주체가 이에 대한 보다 많은 관심과 함께 범국가적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