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TO 각료회의, 국내 수산업계 의견 최대 반영
WTO 각료회의, 국내 수산업계 의견 최대 반영
  • 승인 2005.12.19 12: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해양수산부는 13일부터 18일까지 홍콩에서 개최되는 WTO 제6차 각료회의에 해수부를 비롯한 한국원양어업협회, 수협 등으로 구성된 민관협상대책단(단장 최장현 해수부 차관보)을 파견했다.

이번 각료회의에서는 그간의 WTO/DDA 협상의 성과물을 확인하고 아울러 향후 협상진행 방향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수산보조금의 경우 수산물 주요 수출국가인 노르웨이, 뉴질랜드의 전면적 보조금 금지 주장과 이에 반대하는 우리나라, 일본, 대만의 입장의 팽팽한 대립으로 큰 진전은 이루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수산물 관세의 경우도 수산물 관세가 속해 있는 비농산물시장접근(NAMA) 그룹에서 그간 주요국들의 협상진전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견이 좁혀지지 않았다. 또한 비농산물시장접근 협상은 농업협상과 맞물려 진행돼 농업협상의 핵심요소에서 선·개도국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는 한 큰 진전을 이루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주요 국가의 소규모 각료회의에서 주요 쟁점에 대한 협상이 가속화 될 경우 협상이 급진전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해수부는 이에 따라 협상 급진전에 대비해 회의기간 내에 상시 비상체계를 운영할 계획이다.

그동안 WTO/DDA 협상은 2001년 11월에 시작돼 현재까지 진행중에 있으며, 수산분야에서는 수산보조금과 수산물 관세가 각각 규범과 비농산물 시장접근(NAMA)그룹에서 논의돼 왔다. 수산업은 1차 산업임에도 불구하고 농업과는 달리 공산품과 같이 논의되어 협상과정에서 수산부문의 민감성을 반영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해양부 관계자는 WTO 제6차 각료회의에서 수산보조금과 수산물 관세부문에서 큰 진전은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내년도 협상에서는 논의가 급속히 가속화될 전망이므로 최종 협상 결과에 대비한 다각적 대응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해양부는 특히 민·관 협상대책단 및 민간자문회의 등을 통해 협상전략을 강화하는 한편 입장유사국들과의 공조를 통해 협상에 적극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우리 수산업계의 이익을 최대한 반영토록 할 방침이다.

아울러 협상동향을 적극 홍보하고 대책에 대한 어업인의 의견 청취함으로써 협상에 대한 이해 및 사전 대응능력 제고하고, WTO/DDA 협상대비를 위해 농어촌특별위원회가 수립한 ‘수산업·어촌 종합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해 시장 개방의 거센 파고에 적극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