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들의 비정규직 사원 비율이 3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환위기 이후 은행들이 비용절감과 손쉬운 구조조정을 위해 정규직보다는 임시직 충원을 더 늘리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최근 금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말 현재 시중은행, 지방은행, 특수은행 등 국내 은행의 임직원은 모두 12만3천666명으로 이 가운데 비정규직이 3만5천701명으로 전체의 28.9%에 달했다.
이는 지난 2001년말 총임직원(11만5천812명) 가운데 비정규직(2만6천614명)이 차지한 비율 23%보다 훨씬 높아진 것이다.
전체 임직원수는 최근 3년여동안 거의 늘지 않은데 비해 비정규직 사원은 무려 34%나 급증한 셈이다. 특히 전체 임직원 가운데 일반직원의 경우 지난 2001년말 8만7천242명에서 올상반기말에는 8만6천527명으로 오히려 줄어들었다.
시중은행 가운데서는 국민은행의 비정규직 비율이 올상반기말 현재 35.9%로 가장 높았으며 한국씨티도 31.8%로 30%

한 시중은행 노동조합 관계자는 “은행들은 지난해 금융노조와의 임단협에서 비정규직 비율을 계속 줄이기로 약속했다”며 “그러나 이 같은 약속은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비난했다.
노동계에서는 90년대말 외환위기 이후 비정규직 문제가 심화된 대표적인 업종 가운데 하나가 금융업이라고 주장한다.
실제로 전국은행연합회에 따르면 국내 은행에서 근무중인 비정규직 사원의 연간총급여는 대체로 1천500만~2천만원 수준에서 결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문별로는 전문텔러의 경우 비정규직 1인당 급여수준 파악이 가능한 14개 은행 가운데 가장 많은 곳이 대구은행으로 평균 2천400만원이었으며, 전체 은행의 절반은 2천만원을 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무직은 2천만원을 넘는 은행이 4곳에 그쳤으며, 특히 농협은 1천190만원에 불과했고 콜센터, 파견, 용역직은 대부분이 2천만원 미만의 연봉을 비정규직에게 지급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