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기관 아웃소싱은 '안돼'
금융기관 아웃소싱은 '안돼'
  • 승인 2005.10.19 11: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18일 '금융기관 아웃소싱 확대의 문제점과 금융공공성 회복'에 대한 토론회가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이날 토론회는 전반적으로 금융기관 아웃소싱 확대는 금융권 노동자의 대량 퇴출을 발생하게 될 것이라며 주제발표자는 물론, 참석자들의 반대의 목소리가 주를 이루었다.

발표자로 나선 이종태 금융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은 "업무위탁 개정안은 정부의 장기적 금융산업정책인 금융허브화와 금융지주회사의 추진 속에서 금융산업 내 노동시스템을 바꾸려는 장기적인 전망을 가지고 있다"며 "이번 금감위 정안은 감독 절차마저 미비한 구멍투성이의 법률안"이라고 성토했다.

이어 그는 "금감위 개정안은 '업무위수탁운영기준'을 자율적으로 제정, 운영토록 했지만 금융기관 사측에 이를 맡기는 것은 무리이며 또한 아웃소싱의 결과로 금융기관 건전성 저하, 금융 이용자 피해 등의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책임소재를 명시하지 않고 있다"며 밝혔다.

정명희 금융노조 국제부장은 발표를 통해 "지난해 영국의 금융노조(UNIFI)는 HSBC와 해외 아웃소싱에 대한 글로벌 약정을 체결, 일방적인 은행의 글로벌 아웃소싱을 금지하고 노조와의 협의를 통해 일자리 감소에 대한 대응책을 협의하기로 했다"며 "일본도 아웃소싱에 따른 해외로의 기술유출이 증가하자 일본기업들은 핵심부문에 대한 아웃소싱을 억제하는 대책을 찾고 있으며, 그 방안으로 일본 국내 공장에서만 핵심부품을 생산하거나 핵심기술을 블랙박스화 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해 4월 세계적인 컨설팅 회사인 Deloitte사가 발표한 '아웃소싱 시장에서는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는 제목의 심층분석자료에 따르면 조사대상 기업의 64%가 아웃소싱 서비스를 내부조직으로 다시 철수한 경험이 있다"며 "아웃소싱은 전세계적으로 차 그 빛을 잃을 것이며"최근 경영진들의 일시적 유행이긴 하지만 앞으로 기업들은 아웃소싱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