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음식·숙박업을 제외하고 모든 업종에서 고르게 증가해 하반기 내수회복의 기대감을 더했다. 다만 대표적 내수지표인 도소매업 증가세는 다소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05년 7월 서비스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서비스업 생산은 숙박 및 음식점업을 제외한 전업종에서 증가세를 보여 전년동월대비 4.2% 증가했으며, 계절조정 전월비로는 0.2% 늘었다.
서비스업 생산은 지난 3월(1.6%) 증가세로 돌아선 후 5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지난 2002년 12월(6.5%) 이후 2년7개월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업종별로 보면 도·소매업은 작년 같은 달에 비해 2.0%가 늘어나 5개월 연 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도매업은 기계장비 및 관련용품(13.5%), 건축자재.철물(1.6%), 금속광물·1차금속(1.2%) 등의 증가로 전년동월대비 2.3% 늘었다.
소매업은 기타상품 전문소매(1.9%), 종합소매(1.5%), 무점포소매(0.2%) 등의 증가에 힘입어 0.3% 늘었다. 도·소매업 가운데 자동차판매 및 차량연료소매는 자동차판매(25.5%)가 크게 늘어나면서 지난 2003년 8월 8.9% 이후 가장 높은 7.3%나 증가했다.
7월 서비스업 중 가장 크게 증가한 금융 및 보험업은 전년동월대비 11.9% 늘어나 지난 2002년 10월(21.3%) 이후 2년9개월만

부동산 및 임대업은 부동산업과 기계장비 임대업이 모두 늘어나 전년동월대비 8.9% 증가했다. 부동산업이 6월 2.9%에서 7월 8.3%로 크게 높아졌으며 기계장비 임대업도 10.0% 증가했다.
교육서비스업은 학원분야(-2.2%)가 17개월째 감소세를 지속했음에도 불구, 초·중·고등학교(5.9%), 유치원(3.5%) 등의 영업수입이 늘어나 전체적으로는 2.7% 증가했다.
오락·문화·운동관련 서비스업은 영화업(-6.5%)이 부진했던 반면, 방송, 공연산업, 테마파크, 골프장, 경기장 등에서 매출이 늘어 전년동월대비 5.3% 증가했다.
이밖에 운수업(3.5%), 통신업(1.4%), 사업서비스업(0.7%) 등도 증가세를 이어갔다. 반면, 숙박업은 전년동월대비 0.8% 증가했으나 음식점업은 0.9% 줄어 숙박 및 음식점업 전체로는 0.7% 감소했다.
재정경제부 김철주 경제분석과장은 "업종별로 차이는 있으나 과거 평균상승률(과거 5년 평균 5.2%)에 근접하는 수준으로 서비스업 활동이 정상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도 서비스업은 소비회복 등에 따라 증가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재경부는 대표업종인 도소매업이 추세적인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고 백화점·할인점 및 자동차 판매 등 소비관련 속보지표 및 주식시장도 호조세를 보이고 있으며, 7월 이후 주 40시간 근무제가 본격 시행됨에 따라 숙박업, 여행업, 오락·문화·운동서비스 등의 증가세가 보다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