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차관은 23일 정부 과천청사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양 노총이 조속한 시일내에 ILO 총회 불참을 철회하지 않을 경우 ILO가 회의 연기를 결정할 가능성이 높다”며 이같이 말했다.
또한 정 차관은 “노동계가 제시한 불참사유와 이번 아태총회에 참가하는 문제는 전혀 차원이 다른 별개의 사안”이라고 말한 뒤 “ILO 사무총장이 노동계에 보낸 서한에서 지적했듯이 국내 노동문제를 빌미로 자국에서 개최하는 국제회의에 불참하는 것은 국제사회의 공감을 얻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노동부는 이번 국제회의에 대해 ILO가 노사정 삼자주의를 근간으로 하고 있는 만큼 노동계의 총회 참석

노동부는 정 차관의 기자회견과 함께 ILO측에도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을 설득해 줄 것을 요구하는 등 적극적인 총회 성사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난 17일에는 김대환 노동부 장관이 ILO 아태 사무총장과 면담을 하고 노동계 설득을 위한 협조 서한을 보내기도 했다.
노동부는 ILO와 공동으로 노동계 요구 철회를 위해 오는 23일 정 차관을 단장으로 하는 고위급 방문단을 제네바 ILO 본부에 급파키로 결정했다. 노동부는 ILO 본부 방문을 통해 성공적인 총회 개최를 위한 정부입장을 전달하고 한국과 ILO의 공동 노력방안을 제안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한편,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은 정부의 노정관계 변화가 없을 경우 ILO 총회 불참 주장을 철회할 수 없다는 주장을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