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군인 취업지원 대폭 확대
제대군인 취업지원 대폭 확대
  • 승인 2005.08.08 12: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방부가 제대 군인(간부)들의 취업 지원 활동을 강력히 펼친 결과 지난 상반기 동안 771명이 군 관련 직위에 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제대 군인들이 취업할 수 있는 취업 직위도 국방과학연구소(ADD) 위촉 연구원, 기본권 상담관, 군사자문위원 등 632개가 추가 확보됐다.

국방부는 7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올 전반기 제대 군인 취업 지원 추진 현황을 밝히고 앞으로도 군 관련 분야를 아웃소싱, 제대 군인들이 취업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취업 직위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취업 지원 추진 현황에 따르면 전반기에 632개 취업 직위가 확대, 이제까지 확보된 군 관련 취업 직위 수가 7503개로 늘어났다. 이는 총소요 직위 9037개 대비, 83%에 해당하는 것이다.

국방부는 또 전반기에 군 전임 교수, 안보학 교수, 워게임 운영 요원, 항공력 발전 연구위원, 학군단 교관, 복지 시설 관리 요원, 산하 기관 등 군과 관련된 직위에 전역 간부 771명을 취업 알선했다.

계급별로 보면 장군 26명을 비롯해 대령 26명, 중·소령 323명, 위관 장교 254명, 준·부사관 100명이다. 2003년에는 1089명을, 2004년에는 1899명을 취업 지원했다. 육·해·공군별로는 종래 86대7대7에서 70대15대15로 개선, 균형을 이루게 됐다.

제대 간부들의 취업 능력 향상을 위해 특성화된 직업 교육 훈련 과정으로 국방부의 3개 전직 지원 프로그램을 비롯해 국가보훈처의 사회 적응 교육,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의 중소기업 현장 연수, 노동부의 전문 기능 교육, 산업인력관리공단의 전문성 향상 교육 등이 시행 중이며 교육 성과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기 동안 3261명의 전역(예정) 간부들이 교육 과정을 이수했으며 연말까지 5950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지난해의 경우 국방부가 민간 전문 업체에 위탁해 6회 시행한 전직 지원 프로그램에는 471명이 참여, 179명이 취업하고 26명이 창업했다. 또 취업 유망 직종인 중소기업체 현장 관리자 육성 과정에서는 57명 중 20명이 취업했다.

현재 국방부와 육·해·공군의 취업 지원 전담 부서는 관련 업체까지 상호 연계된 정보 체계가 구축돼 있으며 전역 예정 간부 구직 등록 의무화에 따라 6월 현재 3만2847명의 구직 카드를 등록해 두고 있다.

국방부는 앞으로도 관련 정부 부처와 협조, 범정부 차원에서 제대 군인의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창출해 제대 군인들의 원활한 사회생활을 도울 계획이다.

이와 함께 국방 취업 지원 대책의 전 국민적인 홍보를 위해 국방부와 각군 본부의 군용 버스 70대에 군 인적 자원의 우수성을 알리는 광고물을 부착하고 국군TV를 통해서도 홍보를 정례화하는 등 홍보 활동을 강화하면서 취업 교육 훈련 과정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또 연간 2000여 명에 이르는 장기 복무 직업 교육 인원을 별도 정원으로 관리하기 위해 올해부터 2012년까지 1060억 원의 소요 예산을 반영해 나갈 예정이다.

국방부는 이 같은 내용을 지난 2일 국무회의에서 노무현 대통령에게 보고한 바 있다.정부는 제대 군인에 대한 취업 지원과 관련, 지난해 4월부터 국무총리실 산하에 제대군인지원위원회를 설치해 다양한 지원 활동을 벌이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