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한국 신용등급 'A-'→'A' 상향조정
S&P, 한국 신용등급 'A-'→'A' 상향조정
  • 승인 2005.07.29 09: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계 3대 신용평가기관 가운데 하나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가 27일 우리나라의 국가신용등급(외화 장기신용등급)을 'A-'에서 'A'로 한 단계 상향조정했다.

S&P는 지난 2002년 7월 우리나라의 신용등급을 'BBB+'에서 'A-'로 상향조정한 후 이를 계속 유지해오다 3년만에 처음으로 조정한 것이다.

S&P의 타카히라 오가와 이사는 "한국의 금융부문이 꾸준히 개선돼 왔고 통화의 유연성이 강화됐다는 점이 이번 상향조정의 주요 배경"이라며 "한국의 은행권은 여러 측면에서 개선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원화 환율의 유연성이 강화됐다는 점도 이번 상향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 오가와 이사는 "한국 정부가 완전한 자율변동환율제를 채택하고 있다고 보지는 않으나 올해 들어 주요 무역 상대국가의 통화와 비교해 볼때 원화의 변동폭이 과거에 비해 증대됐다"고 말했다.

오가와 이사는 또 "한국의 대외수지는 이미 견실한 상태이며 올해 말에는 한국의 순대외자산 규모가 경상수입의 22%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외환보유고도 단기외채 대비 비율이 300%를 상회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망했다.

S&P는 그러나 "북한과의 관계는 여전히 한국의 신용등급을 제약하는 걸림돌로 남아 있다"면서 북한문제에 대해서는 6자회담 재개로 지정학적 리스크가 악화될 가능성은 낮지만 6자 회담 자체가 쉽게 결론을 도출하기 어렵고 결론이 도출된다 하더라도 북한의 이행여부를 검증하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오가와 이사는 신용등급의 추가 상향조정 여부와 관련, "북한의 제반변화와 한국의 노동시장 경직성, 정부의 신용 및 보증 활동에 따른 경제의 왜곡현상을 한국 정부가 얼마나 시정할 수 있는지에 따라 추가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고 말했다.

재경부는 S&P의 이번 등급 상향조정에 대해 "참여정부 초기 북핵위기 등으로 무디스사의 신용등급 전망이 하락하는 등 어려움이 있었지만, 지난 2년여간의 안정적 거시경제 운용, 지속적인 구조조정, 대외건전성 제고 등의 성과가 평가받은 것"이라고 평가했다.

재경부는 또 "이번 상향조정의 결과로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대외신인도가 제고되는 것은 물론, 국내 기업.금융기관들의 해외 자금조달 여건 개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