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발유의 경우 휘발유값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1% 상승(1353→1,382원/ℓ)했으나 휘발유 차량의 신규 등록대수가 13.9% 증가(18만6458대→21만2351대)해 6.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급 휘발유는 중대형 수입차의 증가로 47.2%나 증가했다.
B-C유는 계절적 요인으로 가정ㆍ상업부문의 난방용(18.2%) 및 발전용(20.9%)은 증가했으나 산업부문의 감소(9.2%)로 전체적으로는 0.9% 증가하는데 그쳤다.
항공유는 계속되는 수출호조와 관광수요의 증가로 신규 취항노선에 의한 항공기 운행 증가로 27.6% 증가했으며, 납사는 석유화학 제품의 국제가격 상승으로 수요가 급증하는 바람에 6.3%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등유는 연탄 및 도시가스 보급 등으로 감소세가 지속돼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1.8% 감소했다. LPG는 난방용 프로판의 경우 증가(1.8%)한 반면 수송용 부탄은 0.8% 줄었다.
부문별로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수송용 2.1%, 발전 18.8%, 산업용 2.3% 각각 증가한 가운데 가정·상업용은 2.1% 감소했다.
한편 올 상반기 석유제품의 수출물량은 3.2% 증가한 1억1500만배럴에, 금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0.0% 증가한 59억5000만달러를 기록, 수출품목 6위를 차지했다.
또한 상반기 중 원유 도입량은 전년동기대비 4.1% 증가한 4억1100만배럴에 도입금액은 국제유가 상승으로 41.9% 증가한 185억6500만달러를 기록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