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가 기조의 장기화 가능성에 대비해야
고유가 기조의 장기화 가능성에 대비해야
  • 승인 2005.07.20 08: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업연구원은 현재 유가 전망에의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지만 현재의 고유가는 구조적 변화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는 점에서 고유가 기조의 지속 가능성이 보다 설득력을 얻고 있고 다만, 유가 변동이 세계경제 성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주요국들의 경기둔화가 진행되면 단기적으로 유가 변동 범위의 하향 조정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고유가 기조의 구조적인 원인에는 수요 우위의 시장구조 정착, 원유소비국의 수입 의존도 상승, 원유소비국의 수입 의존도 상승, 산유국들의 결속력 강화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현재의 고유가 사태에 대해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향후 전망과 관련해 비관론과 낙관론이 혼재해 비관론의 경우 현재의 유가 수준을 슈퍼 스파이크의 초기 단계에 진입하고 있다고 판단했고, 낙관론의 경우 거품 수준으로서의 붕괴 직전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산업연구원은 최근의 고유가 기조가 일시적 요인에 의한 순환적 측면보다는 구조적 측면의 성격이 강해 보인다는 점에서 고유가에 대한 정책적 대응 노력을 더욱 강화해야 할 시점이며 우리나라와 같은 원유소비국의 입장에서는 산유국들의 강한 결속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소비국들과 공동 대응책을 모색하는 방안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