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4일간 산별파업을 벌인 보건의료노조가 최근 사용자측이 단협사항 일부를 미이행한다는 등의 이유를 들어 104개 병원이 참여하는 총파업안을 의결했다.
3일 보건의료노조에 따르면 재적 조합원 3만3천3백52명 가운데 2만7천1백42명(81.4%)이 투표에 참가해 69.3%가 찬성함으로써 총파업안이 가결됐다.
이에 따라 보건의료노조는 중앙노동위원회의 중재가 실패할 경우 8일 총파업에 돌입하게 된다. 여기에는 가톨릭중앙의료원, 고려대의료원, 백병원 등 주요 병원이 참여할 전망이다.
완성차 협력사 등이 소속된 전국금속노동조합(조합원 3만여명)도 지난 29일 사용자측의 성실 교섭을 촉구하는 경고파업을 벌인 데 이어 오는 5일 13차 중앙교섭에서 합의를 이루지 못할 경우 6일과 8일 각각 4시간씩 부분파업에 들어갈 계획이다.
또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조종사노조도 쟁의행위를 결의한 가운데 아시아나가 5일 오전 1시부터 시한부 경고파업을 벌이기로 했다.
산별파업과 함께 양대노총 중 하나인 한국노총도 ▲특수고용 노동자 노동3권 보장 ▲김태환 충주지부장 사망사건 진상규명 및 책임자 처벌 등을 요구하며 7일 총파업을 예고하고 있다.
특히 한국노총은 국무총리 산하 ‘일자리만들기위원회’ ‘노사정위원회’ 등 노총이 참여하는 각종 위원회도 단계적으로 탈퇴키로 했다. 이용득 위원장은 “한국노총이 사회적 대화 완성을 위해 노력했음에도 정권이 우리를 무시한다면 노총을 투쟁하는 조직으로 바꿔 지속적으로 투쟁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사정간의 이같은 갈등은 비정규직 법안 합의처리 실패 이후 갈수록 증폭되고 있다. 법안처리 실패 이후 노사정위원회 개편, 노사관계 법·제도 선진화방안(로드맵) 논의 등 노사관계 발전을 위한 모든 노력이 전면 중단된 상태다.
이러다보니 노사정간의 문제를 원만하게 해결하기 위한 노력도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이와 관련, 전문가들은 향후 노사정 관계 정상화를 위해 정부가 더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