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보시장이 수년째 침체를 보이면서 국내 대형 생보사는 기존 지점과 설계사를 줄이는 등 경영 효율성 향상에 주력했으나 국내 중소형 및 외국계.합작 생보사는 홈쇼핑과 텔레마케팅, 방카슈랑스 등에서 선전하면서 시장점유율이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
19일 금융감독원과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외국계 및 합작 생보사의 방카슈랑스 시장 점유율(누적 수입보험료 기준)은 지난해 4.4분기 65.8%를 기록, 전분기의 43.4%에 비해 크게 높아졌다.
반면 삼성.대한.교보생명 등 국내 3대 생보사의 방카슈랑스 시장 점유율은 이 기간 36.5%에서 28.0%로 하락했고 나머지 국내 중소형 생보사의 경우도 20.1%에서 6.3%로 급락했다.

지난해 3.4분기만 해도 국내 3대 생보사와 외국계 및 합작 생보사의 방카슈랑스 점유율은 13.1% 포인트 차이에 불과했지만 4.4분기에는 무려 37.8% 포인트 격차로 확대된 것이다.
또 외국계및 합작 생보사의 전체 수입 보험료 가운데 방카슈랑스 보험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4.4분기 82.0%에 달했다.
생보업계는 이와 관련, 국내 생보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설계사 등 판매망이 취약한 외국계 및 합작 생보사가 세계적 인지도를 내세우며 방카슈랑스 시장을 집중공략했기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전체 생보시장 점유율을 보면 국내 3대 생보사는 2003년 4.4분기 72.4%에서 지난해 4.4분기에는 68.9%로 축소된 반면 국내 중소형 생보사는 11.5%에서 12.1%로, 외국계 및 합작 생보사는 16.0%에서 19.0%로 확대됐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