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청, 농림부, 환경부 공동으로 이뤄질 이번 조사는 지난해 10월 제3차 사회문화정책 관계장관회의에서 의결된 '폐광지역 등 농산물 안전관리 대책'의 일환으로 식품안전분야에서는 처음으로 범정부차원으로 진행되는 사업이다.
중금속 관련 실태 조사대상 농산물은 쌀, 옥수수, 대두, 팥, 감자, 고구마, 배추, 시금치, 파, 무등 국민들이 많이 소비하는 10개 품목으로 국민건강증진기금 약 29억원을 투입,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내년 하반기 중 중금속 기준·규격을 설정할 예정이다.
주관연구책임을 맡은 식약청은 평야지대·수입·유통 농산물 9600건 조사와 함께 사업기관 검사능력관리, 노출위해성 평가 및 기준·규격 평가방법을 조사하게 된다.
또 농림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은 폐광지역 인근 농산물 약 2600건(쌀 등 10종 농산물)을, 환경부 국립환경연구원은 폐광지역 인근 토양, 농업용수 등 약 4840건에 대해 검사를 실시하게 된다.
정부는 사업의 효율적 수행을 위해 식약청 내에 농림부, 환경부,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와 학계, 소비자단체 등이 참여하는 '중금속기준설정위원회'(위원장 변철식 식약청 차장)를 설치·운영할 계획이다.
식약청은 또 용역연구 10개 과제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공개 경쟁방식으로 연구기관을 선정할 계획이며, 경기·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제주권 등 전국을 5개 권역으로 나눠 권역내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실태조사를 시행할 방침이다.
그동안 폐광지역 농산물의 중금속 오염문제가 꾸준히 제기됐으나 현재 우리나라 농산물 중 중금속 기준·규격이 설정된 것은 쌀(현미 제외)에 대한 카드뮴(0.2mg/kg이하) 기준 뿐이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