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은 구조조정본부가 중심이 돼 계열사별로 중소기업과 협력이 원활히 이뤄지고 있는지 협력시스템을 일제히 점검키로 하는 한편 분기에 한번씩 모임을 통해 업계의 의견을 산업자원부에 전달하고 대-중소기업 협력시스템 변화 내용도 점검키로 했다.
산업자원부는 3일 30대 그룹 구조조정본부장들과 회의를 열고 지난달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열린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대책회의’후속조치와 관련, 정부와 기업이 함께 향후 대응방향을 집중 논의했다.
이희범 산자부 장관은 이 자리에서 당시 대책회의에서 △시장중심의 상생협력 △상호 호혜적인 상생협력 △모범사례의 확산 등 대통령이 밝힌 상생협력 3원칙을 강조하고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의 헤드쿼터로서의 역할을 강화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 장관은 이어 대-중소기업 성과공유제를 확산시키기 위해‘성과공유제 확산본부’를 이달 중 한국생산성본부에 설치하고 성과공유표준계약서 마련 등 성과공유제 확산을 위한 인프라 구축을 본격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산업연구원(KIET)에 ‘대-중소기업 협력평가센터’를 설치, 향후 협력우수기업 선정기준이 될 대-중소기업간 협력지표 개발을 연말까지 완료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 장관은 이와 함께 협력우수기업에 대해서는 내년부터 범부처 차원에서 세제ㆍ금융ㆍ조달 등의 측면에서 인센티브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산자부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강화 방안 후속조치 계획’을 수립하고 다음달까지 대통령 주재 관계장관회의에서 확정키로 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