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파견업체 ‘파견에서 도급 전환 러시’
인재파견업체 ‘파견에서 도급 전환 러시’
  • 승인 2005.06.07 10: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근로자 파견 소폭 상승…도급수주는 확대
불법 파견 시비 차단 위한 완전도급 전환

6월 임시국회를 앞두고 비정규관련 법안 통과 여부가 또 다시 초미의 관심사로 등장했다. 지난번 11차례에 걸친 노사정의 합의는 결국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에서 또 다시 협상 테이블위에 올라가기도 전에 무수히 많은 ‘말’들이 오르내리고 있다.

이러한 와중에 HR아웃소싱 업계 역시 향후 전망에 대해 일대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이미 몇 년 전부터 준비한 기업부터 최근의 동향에 따라 점진적인 변화를 꾀하는 기업까지 그 형태는 다양하다. 하지만 공통적인 것은 파견보다는 완전 도급을 지향한다는 점이다. 일부 업종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전반적인 대세는 도급으로 흐르고 있다.

이번 조사는 국내 HR 아웃소싱 기업 중 가장 많은 활동을 하는 10개 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 졌다.

파견과 도급이 비슷한 숫자로 이루어진 A사의 경우, 금융과 유통 관련 부분을 주요 거래처를 가지고 있다. 이 회사의 경우, 도급으로의 전환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유통·물류 부문에서 이미 상당수 도급으로 전환이 되었다. 시범적으로 콜센터도 소수지만 50명 내외로 도급으로 전환시켜 사태를 관망하고 있다.

이와 함께 파견 인원에 비해 도급인원이 3배수가 많은 B사의 경우 그 상황 진척은 더욱 빠르게 진행되고 있었다.

다양한 업종에서 150개 정도의 거래업체를 가진 이 회사는 이미 올해 전년 대비 25%의 도급 신장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유통·물류 부문에 공격적인 신규 마케팅을 전사적인 차원에서 지원하고 있다.

파견직이 도급직 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기업에서도 변화는 감지되었다. 파견인력이 도급 보다 3배수나 많은 C기업의 관계자는 “도급 확대는 불법 파견에 대한 염려 때문이라는 것이 지배적인 견해입니다. 원청사에서의 인식 전환과 더불어 안정적 물량 공급이 주요한 원인”이라고 한다. 아울러 현재 파견쪽은 소폭 상승한 추세이지만 도급쪽은 무려 20~25%에 이르는 신규 프로젝트를 수주 받는 성과를 올렸다고 전했다.

콜센터 아웃소싱 전문 기업인 D사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파견과 도급의 인원이 거의 비슷했던 작년과 달리 올해에 20%의 차이로 도급인원이 늘어났으며, 원청사에서도 신규도급으로의 전환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고 한다.

이미 사무 도급을 주요 타깃으로 삼은 E사의 경우는 이러한 분위기에 오히려 느긋한 자세이다. 이미 기존에 상당부분 도급이 이루어 진 상태로 많은 노하우를 쌓았으며, 작년에는 비주력 부문에서도 원청사의 요구로 50명 내외의 완전도급이 이루어진 것은 향후 HR기업들의 모델이 된다고 보여진다.

외국계 기업은 F와 G사는 비정규관련법안에 추이를 지켜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G사의 관계자는 “그동안 쌓아온 노하우가 있으며, 브랜드 이미지가 강하기 때문에 향후 관망적인 자세로 움직여도 늦지 않다고 생각한다. 괜히 서둘러 일을 그르칠 수 있다는 내부적인 판단에서 나온 것”이라며 조심스러운 접근 또한 다수 감지되었다. 현재, 전반적인 흐름은 도급으로의 전환이 급격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여건은 아니지만 관련 법안의 문제가 최대 변수라 할 수 있겠다. 한동안 법안 통과 문제가 시끄러울 것임에는 분명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