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조업체 3곳 중 2곳 형태로 67.3%가 사업 구조조정을 검토하고 있거나 추진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기존사업에 대한 구조조정 형태로는 48.5%가 아웃소싱을 선택한 것을 나타났다.
이같은 내용은 대한상공회의소가 지난 2일 서울지역 제조업체 300개사를 대상으로조사해 발표한 ‘우리 기업의 사업구조 현황과 정책과제’에 따른 것이다.
기업 중 사업구조조정을 검토하거나 추진하고 있는 경우는 전체의 67.3%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구체적으로는 전체 응답업체 중 28.3%가 ‘구체적 계획은 없으나 의향은 있다’고 응답했고, ‘계획을 수립중임’(19.7%), ‘현재 사업전환 추진중’(17.3%), ‘최근 사업구조 전환 완료’(2.0%) 등으로 응답했다. 사업구조조정을 추진할 의향이 없는 업체는 32.7%에 불과했다.
기업들은 현재 사업구조가 어떤 상황인지를 묻는 질문에 대해 전체의 43.0%가 저수익·저성장 사업구조라고 응답했고, 다음으로 고수익·고성장(32.6%), 저수익·고성장(14.7%), 고수익·저성장(9.7%)의 순이었다.
사업구조조정 검토·추진 업체는 그 주 원인으로 ‘새로운 수익원 창출’(37.1%)과 ‘수익성 악화로 제품경쟁력 상실’(35.5%)을 들었으며, ‘핵심사업 집중’도 14.2%에 달했다. 한편 구조조정 추진과정에서 예상되는 걸림돌로는 정부규제가 33.0%로 가장 많았으며 그 외에 노조 등 내부직원 반발(32.2%), 매각 애로(30.4%) 등을 들었다.
구조조정 검토·추진 업체를 대상으로 사업구조조정 추진 형태를 질문한 결과, ‘기존사업 유지하면서 신규사업 추가’가 86.1%를 차지했고 ‘기존사업 변경하면서 신규사업 추가’(9.4%), ‘기존사업 변경만 추진’(4.5%)이 그 뒤를 이었다.
기존사업구조 조정 형태에 대해서는 사업부문 아웃소싱이 48.5%로 가장 많았고 국내 사업의 해외이전 24.2%, 분사 등 회사분할 15.2% 사업 매각 9.1% 순이었다.
이번 조사에서 기업들은 직접적인 사업구조조정 지원책으로 ‘신용대출 지원 등 금융지원 확대’(38.3%)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규제완화’(22.4%), ‘신규사업 위한 부지, 설비 등 확보 지원’(21.4%), ‘업종전환 위한 세제지원’(13.4%) 등도 주요 과제로 지적됐다. 그런데 최우선과제로 중소기업은 금융지원(44.2%)을, 대기업은 규제완화(38.0%)를 들고 있어 기업특성에 맞는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최근 기업의 수익성과 성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속적인 구조조정 지원책과 함께 내수시장 활성화를 적극 추진하여 기업들의 매출 확대와 수익구조 개선을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